백태근 aT 대전세종충남 본부장

질병관리본부와 17개 광역자치단체가 지난달 28일 발표한 ‘2018년 지역사회건강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비만율(자가보고)은 2008년 21.6%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해 지난해 31.8%를 기록했다고 한다.

반면 먹거리 취약계층(결식아동, 독거노인 등)은 전체 인구 8% 수준인 420만 명이며, 일평균 음식물 쓰레기 양은 2015년 기준 1만 5340t으로 전체 음식물의 7분의 1에 해당, 연간 약 20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이외에도 효율성 위주의 산업형 농업구조는 식품안전사고, 환경오염 등 다양한 문제를 초래했다. 이는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이러한 위기의식에서 탄생한 것이 ‘밀라노 도시먹거리정책 협약’이다. 2015년 밀라노 푸드엑스포에서 전 세계 117개 도시가 ‘지속가능한 식량정책을 위한 푸드 협약’을 체결했고, 우리나라는 서울, 여수, 대구가 참여했다. 현재는 완주군을 포함해 175개 도시가 이 협약에 가입돼 있으며, 먹거리 문제 해결을 위한 도시단위 푸드시스템 구축 노력은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 속에서 정부는 지역 푸드플랜 수립을 국정과제로 지정하고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사업을 추진했다. 지역 푸드플랜은 먹거리의 생산부터 소비·안전·영양·복지·환경 등 먹거리 관련 다양한 이슈를 종합적으로 관리해 지역 내 먹거리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먹거리 종합전략으로, 지난해 광역 1개소(충남도)를 비롯해 대전 유성구, 충남 청양 등 9개 선도 지자체를 지정, 올해에는 총 25개 지자체를 선정해 푸드플랜 수립을 위한 다양한 지원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역 내 먹거리 선순환 체계 구축은 지역 농산물의 지역 내 소비 및 자본 축적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와 중소농 소득증진,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경제효과뿐 아니라 지역민의 건강 증진, 취약계층에 대한 먹거리 보장, 음식 폐기물 및 푸드 마일리지 저감 등을 통한 환경보호 효과 등 다양한 순기능을 불러온다.

필자가 이곳 대전세종충남지역본부장으로 오기 전 aT(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본사에서 농식품부와 함께 푸드플랜 가이드라인을 제작하고, 지자체의 푸드플랜 수립 과정을 지켜보며 느낀 점은 다양한 분야의 많은 이해관계자들이 상호 소통하고 협력하지 않는 한 성공적인 푸드플랜 수립과 실행이 불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곳 충남도와 도내 15개 시·군에서 추진하고 있는 푸드플랜 수립 및 진행상황을 지켜보면 매우 고무적이다.

우선 푸드플랜이 충남도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3농정책의 연속선상에서 진행되고 있고, 충남도와 관내 기초지자체가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실행력 있는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

민선 7기 출범과 함께 3농정책의 정신과 가치를 계승하고, 나아가 중앙정부 정책과의 연계성을 강화하는 한편 지역 환경과 여건에 맞는 차별화된 정책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으며, 실행력 제고를 위해 계획 수립 단계부터 각 시·군 담당자들과 협력은 물론 정책 집행을 모니터링하고 피드백하는 3농정책위원회와 분과위·팀들의 정기적이고 활발한 활동은 푸드플랜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충남도의 사례는 이제 막 푸드플랜을 시작하는 지자체에 훌륭한 선도모델이 될 것이며, 정부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는 국가 및 지역 푸드플랜 구축의 성공을 위해서도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우리 aT도 농식품부와 함께 충남도의 성공적인 푸드플랜 실행을 위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