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고장에 기반을 두고 지역경제에 적잖은 기여를 하는 기업을 '향토기업'이라고 지칭한다. 향토기업은 지역에서 투자, 생산, 고용 및 소득 창출, 세수 증대, 지역사회 공헌 등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고리 역할을 맡는다. 지자체나 정부에서 향토기업 육성책을 지속적으로 펴고 있는 이유다. 그런데 대전의 사정은 열악하기 짝이 없다. 향토기업이 뿌리내리기 어려운 구조다.

대전 소재 기업은 모두 7만 6021개사로 이 가운데 40~70년 이상 장수기업은 21곳에 불과하다. 지역과 함께 지속적으로 동반 성장하는 기업이 드물다는 의미다. 그 이유로는 향토기업이 시장 상황에 적절하게 적응하면서 과감한 투자와 혁신 등으로 지속가능한 성장 잠재력을 유감없이 발휘하지 못한 탓이 가장 크다. 기업 내부의 경영환경에 크게 의존하는 성향을 그대로 드러내준다. 외부요인으로는 산업용지 부족으로 인한 기업 부담 가중, 당국 지원책 부실 등의 요인을 꼽을 수 있겠다.

그러다보니 대전에는 지역 대표 산업으로 내세울만한 제조업 기반이 구축돼 있지 않다. 생산기반이 취약하다는 건 지역경제 발전에는 치명적이다. 제조업이야말로 취업유발 및 산업연관효과가 크다는 점에서다. 대덕특구를 중심으로 탁월한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도 이를 십분 살리지 못했다는 건 아이러니다. 벤처기업 창업 접근성 등의 인프라가 다른 지역에 비해 우수함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기대만큼 많은 벤처기업이 몰리지는 않고 있다.

지역기업의 경쟁력에 지역 미래가 달려 있다. 모든 제조공정의 기초가 되는 ‘뿌리산업’에 대한 지원책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제조업을 IT·SW산업과 융합시킴으로써 부가가치를 키우는 수밖에 없다. 신산업 육성 내지는 산업의 고도화 전략도 여기에서 나온다. 대전이 지향하고 있는 ‘4차산업혁명 특별도시’의 버팀목을 면밀하게 다듬어야 하겠다. 4차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산업생태계를 구축하지 않으면 살아남을 수 없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장·단기적 대책이 충실하게 이행되고 있는지 따져 봐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