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해탄에 떠도는 뼈저린 사랑

사의 찬미(死의 讚美)

???????????????????????????윤 심 덕 작사
????????이바노비치 작곡
윤 심 덕 노래


?????????????????????????? ??? A
曠寞한 荒野야에 달리는人生아
너의가는곳 그어데이냐
쓸쓸한世上 險惡한 苦海를?
너는무엇을 차즈러 가느냐??????????????

(후렴)??????????????????????????????????????????
눈물로된 이世上이나죽으면?
나죽으면 고만일가 幸福찻는 人生들아??????????????????
나찻는것 서름????????????????????????


B????????????????????????????????????????????
웃는저꽃과 우는저새들이 그運命이
모두다 갓고나 삶에熱中한 可憐한?????????????????
人生아 너는칼우에 춤추는 者로다??????????????

C????????????????????????????????????????????
虛榮에 빠져날뛰는人生아
너속혓슴을 네가아느냐 世上의것은?????
너에게 虛無니 너죽은후에
모두다 업도다

우리나라 가요사에 빼놓을 수 없는 크나큰 사건이 터져서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한 자살사건이 있었다. 그것도 평민이 아니라 문화예술인라는 점에서 더욱 세상을 놀라게 했던 사건이다.

이 사건은 남녀칠세부동석이라고 틀에 박힌 시대에 아니 양반과 상놈이라는 완고한 시대에 남녀 간에 깊은 사랑에 빠져 헤어나질 못하고 자살로서 아까운 젊음을 망망대해에 던져버린 윤심덕(尹心悳)의 비운(悲運)의 사랑을 소개하고자 생각하니 필자는 가슴이 저려옴을 느끼게 되며 이들의 사랑에 안타까운 마음이 필자의 가슴을 짓누르는 감정을 억제할 수 없게 한다.

이 사건은 1924년 8월 오후 11시 시모노세끼를 출발하여 부산으로 향하던 관부연락선 도꾸주마루(德壽丸) 항해를 하던 도중 새벽 4시경 양장을 한 여인과 중년 신사 두 사람이 서로 꼭껴안고 갑판에서 바다로 몸을 던져 자살을 한 것이다.

이들 두 남녀는 이루지 못할 모진 사랑병에 걸려서 신음하다가 끝내는 이룰 수 없음을 원망하며 망망대해에 젊음과 사랑을 송두리째 던져버렸다.

이 세상에서 못 이룬 사랑, 저세상에서라도 못다한 사랑 꽃피우고자 이들은 자살을 결심하고 그것을 실행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낳게 한다. 어찌보면 이들의 사랑이야말로 진정으로 아름다운 사랑이 아닌지, 이들의 사랑은 죽음으로써 아름다운 사랑의 꽃은 피었지만 그외 이들로부터 피해를 입은 사람들은 그 얼마나 가슴이 아플까.

다시 말한다면 죽은 사람은 죽었지만 살아남은 사람들은 이들로 하여금 그 얼마나 가슴이 아프며 이들을 얼마나 원망하며 또 원망할 것인가.

'사의 찬미(死의讚美)'는 윤심덕이 작사를 하고 노래도 직접 불렀다. 이 노래가 윤심덕이 자살한 후에 신문이나 라디오방송을 통하여 세상에 알려지자 그녀의 애절한 사랑에 동경심을 갖고 그녀가 살아생전에 불렀던 목소리를 듣고자 악기점에는 연일 그녀의 목소리가 담긴 레코드를 사기 위해 사람들이 대만원을 이뤘다.

그녀가 부른 노래제목은 그녀가 직접 겪고 있는 가슴에 담긴 그녀의 한의 소리다. 노래제목은 '사의 찬미'이며, 가사는 다음과 같다.

'광막(曠寞)한 황야에 달리는 인생(人生)아, 너의 가는 곳 그 어데이냐, 쓸쓸한 세상-험악한 고해(苦海)를 너는 무엇을 찾으려 가느냐, 눈물로 된 이 세상(世上)이, 나 죽으면 고만일가 행복(幸福)찾는 인생들아 너 찾는 것 서름'

이렇게 윤심덕은 자기의 답답한 심정을 노래가사로 지었으며 또한 그녀가 직접 이노래를 불렀다. 이 노래는 그녀가 마지막으로 자살을 할 결심을 하고서 이 노래를 만들었으며 또한 노래를 그녀 자신이 직접 부르게 되였다.

노래 곡조는 일본 사람이 지어놓은 곡조에다 가사를 붙힌 곡조의 노래다. 다시 자세히 밝힌다면 '사의 찬미'는 일본(日本)인 이바노비치가 작곡을 해놓은 '도나우강의 잔물결' 이라는 노래 곡조에다 윤심덕은 '사의 찬미'라는 자기가 지은 가사를 붙여서 자기 자신이 이 노래를 직접 부른 것이다.

이 노래는 평소에 계획도 없던 노래였다. 당시에 이 노래가 출반될 때는 아무도 이 노래 '사의 찬미'라는 노래가 취입이 될 줄은 작곡가 자신도 모르고 있었다. 녹음하는 날 여러개의 노래를 녹음하는 도중에 작곡가 이바노비치에게 윤심덕은 '사의 찬미'의 노래가사를 보이면서 '도나우강의 잔물결'에 이 가사를 붙여서 노래를 부를 것을 제의를 했다.

작곡가 이바노비치는 윤심덕의 당당한 태도에 황당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이미 세상에 알려진 노래곡조에다 자기가 지은 가사를 붙여서 다시 부른다고 하니 작곡자로서는 그럴 수밖에 없지 않는가. 다시 말한다면 곡조는 하나인데 노래제목은 두 개가 되니 말이다. 그러나 윤심덕은 비장한 마음으로 작곡가 이바노비치를 쳐다보며 승락을 해줄 것을 강력히 요청하며 즉시 피아노 곡조로 연주하여 부르겠다고 당당한 자세로 요청을 하며 즉시 녹음할 것을 제의하여 윤심덕은 여동생인 피아노 연주자 윤성덕에게 피아노연주를 해줄 것을 부탁하고 즉석에서 '사의 찬미'라는 노래를 연습도 없이 막바로 녹음에 들어갔다.

물론 윤심덕은 그 전에 '도나우강의 잔물결'을 불러서 연습은 했던 걸로 생각된다. 이렇게 하여 '사의 찬미'라는 노래가 녹음됐다. 그리고 윤심덕은 이 노래를 부르고 귀국길에 오르게 됐으며 귀국길에 현해탄에서 자살을 하게 된다.

여기에서 그녀가 자살을 하게 된 원인을 살펴보자. 그녀는 원래 성악가였다. 그리고 일본(日本)에서도 명성을 떨친 장래가 유망한 음악가였다. 그런 그녀가 자살하게 된 동기는 유부남과 사랑에 빠져서 헤어나질 못하고 자살에 이르게 된 것이다.

윤심덕의 자살사건에 대해 당시 신문들은 저마다 특색있게 기사를 대서특필했다. 그것도 그럴 것이 윤심덕은 일본에서도 화려한 무대를 누비고 있는 성악가이면서 대중가요의 가수이기도 한 그녀였기에 각 신문 방송에서는 그녀의 죽음에 대하여 연일기사를 쏟아냈다.

여기서 당시 동아일보의 기사를 하나 소개할까 한다. '반생을 찬미하는 윤양의 축음가(蓄音歌) 반(育體)는 어디로 외로운 청가묘곡(淸歌妙曲)'이라는 기사제목의 기사에서 이렇게 썼다.

성악가로서 유명했던 윤심덕이 저승길을 떠났기 때문에 다시는 무대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없게 되었다. 청중을 매료했던 그 목소리는 들을 수가 없게 되었으나 그녀가 일찍부터 닛뽄 축음기회사로부터 초청을 받아 '메기의 추억' '아-그것이 사랑인가' '망향가' 등 많은 노래를 레코드에 취입했으며 이번에 저승으로 떠나기 전 일본으로 갔을 때도 십수 곡의 노래를 취입했다고 한다. 과연 어떤 유서가 나타날까 윤심덕은 다시 볼 수 없지만 그녀가 남긴 목소리는 영원히 이 세상에 살아 있을 것이다.

이상이 당시의 동아일보 신문기사다. 노래의 여왕으로 일세를 풍미했던 윤심덕의 정사 사건은 과연 장안에 센세이션을 일으켰고, 이 세상에 나오지 않았던 그녀의 유서 '사의 찬미'는 세상에 나오기가 바쁘게 전국적으로 인기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여기서 하나 더 소개를 하자면 '사의 찬미(死의 讚美)'의 레코드 뒷면에 들어있는 노래는 그녀의 심정을 더욱 대변하고 있다.

김명환<한국가요작가협회 작사·작곡가 · kmh4647@yahoo.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