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5월 31일 실시되는 전국 지방선거는 무척 중요하다. 1995년 지방자치제 부활 이후 네 번째 맞는 이번 선거는 '풀뿌리민주주의'가 이제 정착단계를 벗어나 도약할 수 있는지를 가늠하는 시금석이 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이번 선거부터 각종 논란 끝에 도입한 지방의원의 유급제, 중대선거구제 및 정당공천제 등도 적용된다. 내년 차기 대선의 전초전으로 이번 선거가 활용될 경우 부작용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당초 취지대로 다양한 인재의 진출이 확대되기보다는 중앙정치의 예속화를 오히려 심화시키게 될 공산이 크다.

그런 의미에서 충청투데이가 한국지역여론연구소와 공동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응답자 10명 중 8명 이상이 투표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드러난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제2, 3회 지방선거 당시 각각 52.7%와 48.8%에 불과했던 투표율은 물론 2002년 대선의 70.8%와 2004년 총선의 60.6%를 훨씬 뛰어넘는 수치다. 내 지역 살림 일꾼을 뽑는 지방선거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지역민들의 참여의식도 그만큼 성숙됐음을 방증해주는 대목이다.

지방선거에 대한 무관심은 결국 그 지역의 피해로 귀결된다는 데 그 심각성이 있다.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의 역량은 그 지역 자치의 질(質)과 직결되게 마련이다. 누구를 선출했느냐에 따라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지역이 있는가하면, 파산 직전의 상태로 내몰린 사례도 속출하고 있다. 선거 때마다 과거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아 지역에 적합한 인물을 뽑아야 한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정당 및 바람선거에만 지나치게 의존할 경우 후보자들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뤄질 리가 없다. 주민의 적극적인 검증 및 감시를 위한 동참이 무엇보다도 절실하다.

후보자 자질에 대한 지역 유권자의 검증역량도 뒷받침돼야 한다. 평소 출마예정자의 청렴성과 도덕성, 전문성, 봉사정신 등을 면밀히 살펴 적어도 부적격자만이라도 가려내야 하는 안목을 가져야 할 것이다. 각 정당도 이번 선거를 내년 대선의 전초전 양상으로 몰고 가선 안 된다. 지방선거의 낮은 투표율은 중앙정치의 지나친 개입으로 인한 정치혐오가 한 요인임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지방자치에 적합한 인물과 정책으로 승부하려는 각오가 요구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