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의 등록 자원 봉사자 수가 6만명을 넘어섰다. 우리사회의 그늘에서 고통을 받고 있는 이웃들과 더불어 살아가려는 소박한 시민 정신이 살아 있기에 그나마 희망을 노래할 수 있는 것 같다. 불과 한 달만에 자원 봉사자가 1만명이나 늘어날 정도다. 내년까지는 대전시민의 5%인 7만명이 등록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복지 대전'의 미래를 논하기에 앞서 모처럼 흐뭇함을 느끼게 된다.

물론 등록 자원봉사자의 통계상 의미를 둘러싼 논란이 있을 수 있다. 자원봉사에 무슨 등록자 개념이 중요하느냐는 반론이 바로 그것이다. 오히려 우리 주변엔 자신을 드러내지 않은 채 나눔의 정신을 실천하면서 살아가는 시민들이 헤아릴 수도 없이 많다. 그렇다고 실적위주의 생색내기에 익숙해진 우리 사회 풍조의 한 단면을 확대해석한 나머지 등록 자원봉사자의 의미를 무조건 평가절하할 일은 아니다.?

사실 우리사회는 빈부, 집단, 이념, 지역간의 양극화로 인한 갈등 양상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성장과 분배'를 둘러싼 논란에도 불구하고 빈곤 계층에 대한 사회의 따스한 배려가 어느 때보다도 절실해지는 요즘이다. 현대 사회의 특질상 사회안전망을 구축하려면 재난 예방 및 복구, 교통·보건 및 환경 문제, 범죄 추방에 이르기까지 자원봉사의 영역도 훨씬 다양해졌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그것은 국가나 지자체가 복잡다기해진 사회복지 및 안전을 효율적으로 보장하기엔 한계를 노정한지 이미 오래인 탓이다. 그만큼 종전보다는 전문적인 자원봉사 시스템을 통해 건강한 공동체를 이뤄야 하는 단계에 와 있음을 의미한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대전시가 추진 중인 자원봉사 포털시스템은 더욱 체계화돼야 한다. 자원봉사자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마일리지 제도' 운영 못지않게 봉사자의 전문성을 살리기 위한 다양한 네트워크 구축의 내실화에 주력해야한다. 민·관관계의 적절한 역할 분담 측면에서 '복지만두레' 운영체제 역시 관심사다. 봉사활동이 즐겁고 보람찬 것은 이웃을 도우면서 인생 역정 속에서 우러나오는 깊이도 배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고유의 나눔과 베품의 정신을 실천하는 시민운동이 알차게 정착됐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