덤프연대가 1주일째 파업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레미콘 연대도 파업을 결의하고 곧 실력행사에 나설 태세다. 여기에다 민주노총 전국하역노조 화물연대가 그제 충남 공주에서 회의를 갖고 전면파업에 돌입키로 해 2003년 벌어졌던 물류대란이 우려된다. 화물연대가 실제로 파업에 들어갈 경우 덤프트럭, 레미콘트럭, 화물차가 동시에 멈추게 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할 개연성마저 있다.

이들은 면세유지급, 운송료현실화, 노동기본권인정 등을 파업의 이유로 내세우고 있다. 한마디로 말해 지금의 환경에서는 먹고 살기 힘든만큼 운신의 폭을 넓혀달라는 얘기로 들린다. 경기침체로 일거리는 줄어드는데 반해 유가는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치솟으니 고충이 이만저만이 아닐 것이다. 파업이유가 '생계형'이란 점에서 일정부분 공감이 간다.

그러나 명분이야 어떻든 국가기간망을 볼모로 한 파업은 결코 정당화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해둔다. 물류망은 인체의 동맥에 곧잘 비유된다. 동맥이 막히면 어떻게 되겠는가. 원·부자재의 수송이 차단돼 막대한 피해를 냈던 게 바로 2년 전의 일이다. 우리지역만 해도 당진 한보철강과 대산석유화학단지 등이 가동을 멈춰 엄청난 산업피해를 초래했다. 화물연대의 파업 결정 소식이 전해지자 대산석유화학단지 내 업체들은 2년 전의 악몽을 떠올리며 불안해하고 있다고 한다.

이번 파업은 지난번 물류대란 때 미봉책으로 사태를 서둘러 종결하는 바람에 가려진 화물업계의 고질적 병폐가 도졌다는 점에서 깊이 반성할 필요가 있다. 일단 물류대란을 넘겨보자는 정부당국과 업계의 무사안일이 오늘의 사태를 불러일으켰음을 지적하고자 한다. 낙후된 물류시스템과 다단계하청구조와 같은 근본적인 대책을 내놓지 않는 한 파업의 불씨는 언제든지 되살아 날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덤프트럭의 운행중단으로 공사가 중단된 건설 현장도 늘어나고 있다. 차주와 건물주는 물론이고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일용근로자들이 일감을 찾지 못해 당장 곤경을 겪을 게 뻔하다. 이런데도 노·사·정 시스템은 도대체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정부와 사업주, 조합측은 머리를 맞대고 대화를 통해 해결책을 찾기 바란다. 어떤 경우든 물류대란만은 막아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