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가 '조류독감 신드롬'을 방불케 하는 공포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조류독감이 사람과 사람간 감염이 가능한 '살인독감'으로 돌변하면서 대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미국 연구팀이 1918년 500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간 스페인 살인독감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적응된 조류독감"이었다고 밝힌데 이어 세계보건기구(WHO)가 '변종 독감'으로 인한 사망자가 최대 1억 5000만명으로 추산된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도 1500만명이 감염돼 사망자가 9만~44만명에 달한 것이란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보건당국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실제 발생했을 때를 상정한 대비책 마련에 만전을 기해야할 때다.

조류독감 문제가 일종의 해프닝으로 끝날지는 누구도 예측할 수는 없다. 하지만 만에 하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경우 그 피해는 질병과 사망으로 인한 엄청난 인력손실에 국한되지 않는다. 공항 및 국경 폐쇄와 심리적 공항 확산 등으로 국제 물류유통이 전면 중단되고, 각국이 '무정부' 상태에 돌입하는 상황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 미국과 유럽국가들이 조류독감 치료제 '타미플루' 확보와 더불어 조류독감 유입 차단을 위한 공동 방역전선 구축 등에 나서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정부가 인구대비 1.7%인 70만명분에 불과한 '타미플루' 비축량을 늘리고 국내 자체 제조가 가능토록 하거나, 조류독감 창궐에 대비한 의료시스템과 방역 차단·예방을 위한 로드맵 구축 등을 서둘러야 하는 이유다. 충청권 지자체도 대비책에 한 치의 소홀함도 없어야 한다. 충청권은 천수만과 금강하구둑 등 호수와 청정 자연환경이 어우러져 있어 조류독감 확산 주요 지역으로 지목되고 있는 철새의 도래지다. 2003년 12월 국내 첫 조류독감 발생지 또한 충북 음성이다. 그 어느 곳보다 높은 위협에 노출돼 있다는 사실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이제라도 '변종 조류독감' 피해 가능성에 대비해서 민·관 협력 강화를 통해 감시·관리에 철저를 기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혹시라도 발생할 환자를 위한 의료시스템과 구호 체계도 갖춰나가야 한다. 가금류 사육농가뿐 아니라 일반 주민들이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지 가이드라인도 만들어서 홍보해야 한다. 영문도 모른 채 피해를 입는 일은 없도록 해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