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권 국·공립대의 취업률을 보면 기가 막혀 말이 나오지 않는다. 교육부의 '2005년도 고등교육기관 졸업자 취업통계조사'에 의하면 전국의 206개 대학 중 충청권 2개 대학만 38위와 56위를 기록했을 뿐 중·하위권을 헤매고 있다. '지역 맹주'임을 자처해왔던 충북대와 충남대의 경우 각각 171위와 186위에 그쳤다. 대학교육의 질과 경쟁력 강화 노력 등이 허구(虛構)에 지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지역 국·공립대가 기득권의 온실에서 얼마나 안이하게 대처해왔는지 그 실상이 여실히 드러났다.

대학의 가치와 기능을 취업률 하나만의 잣대로 평가할 수 없음은 물론이다. 취업률조차도 조사방법과 해석, 대학의 '의지' 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는데다 취업의 질이 제대로 반영돼 있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할 때 객관성이 확보됐다고 보기 어렵다. 대학과 전공 선택과정에서 적성이나 관심분야보다 취업에 지나치게 주목함으로써 나타나는 부작용도 얼마든지 예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취업성적표를 갖고는 '지성의 전당'을 되뇌일 자격이 없다. 외환위기 이후 대두된 높은 청년 실업률 해소 책무를 소홀히 했다는 비판을 면할 길이 없다.?

신입사원 교육비용이 1인당 1억원이 넘고, 이들을 실무에 투입하려면 20개월 이상 걸린다는 한국경영자총협회의 조사결과는 흘려 들을 얘기만은 아니다. 기업의 생존은 시장변화에 얼마나 빨리 적응하고, 오히려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학 교육과 기업 실무간 격차가 너무 크다는 사실은 기업은 물론 국가 경쟁력 강화에도 걸림돌일 수밖에 없다. 산업계의 수요에 걸 맞는 '맞춤 교육' 확대가 요구되는 대목이다.

더욱이 취업률은 정부가 대학 재정지원의 토대로 삼을 '대학정보 공시제도'에 교원 확보율, 재정 현황 등과 함께 주요 항목에 포함돼 있다. 구조조정의 바로미터란 점에서 대학이 이젠 '살아남기'위해서라도 취업률 높이기에 나서지 않을 수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음을 깨달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선 국·공립대학이 스스로 학생 취업 진작을 위한 교육내용 강화 등 특단의 방안을 강구해야 함은 물론 관료적인 분위기도 일신해야 마땅하다. 그래서 새롭게 탈바꿈하는 계기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