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의 혁신도시 선정 작업이 마냥 표류하고 있다. 혁신도시 선정의 열쇠를 쥐게 될 혁신도시입지선정위원회마저 엊그제 구성된데다 선정기준에 대한 용역도 오락가락하고 있는 탓이다. 입지 심사 및 선정 작업에 착수하기는커녕 첫 단추조차 꿰지 못하고 있다. 과연 취지에 부합되는 적지(適地)를 가려낼 수 있을 것인지 우려치 않을 수 없다.

건교부의 '입지선정 지침'이 발표된 지 벌써 50일이나 흘렀다. 건교부가 오죽했으면 혁신도시 선정 시한을 내달로 늦췄을까. 광역단체가 이처럼 선정과정에서 무책임하고도 무능한 조정력을 발휘한 데 기인한 것으로 여겨진다. 현 추세대로라면 오히려 유치지역간의 갈등만을 양산하는 꼴이어서 선정 이후의 후유증도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견된다. 광주시와 전남도는 지난달 30일 선정위 구성과 함께 '200만평 규모에 3만~5만명 수용 자족형 신도시'란 기준까지 제시한바 있다. 충북도의 경우 지자체간 유치과열 속에 공공기관 노조 측까지 혁신도시 선정기준에 대해 이견을 보이고 있는 상황이다. 충북도의 리더십이 부족함을 여실히 드러낸 것이나 다를 바 없다.

혁신도시 건설을 놓고 수도권과 이전 공공기관 일각에선 여전히 반대의 목소리가 수그러들지 않고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공공기관의 상징적인 본사는 지방에, 실질적인 본사는 서울에 두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최근 건교부가 "이전기관들의 기능 및 해당인원은 배치된 지역으로 이전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재차 쐐기를 박기는 했지만 차려놓은 밥상도 제대로 챙겨먹지 못하는 충북도의 이런 느슨한 마음가짐으로 무얼 하겠다는 것인지 의심스럽다.

뒤늦게나마 입지 선정위원회가 결성된 만큼 객관적이고도 투명한 절차 및 방법을 자율적으로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매사를 정부에게 해결해주도록 의존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이제 충북도의 갈등 조정력이 시험대에 올랐다. 각 유치희망지역 역시 지역 이기주의나 정치적 이해관계를 배제하고 차분한 가운데 힘을 모아줘야 옳은 방향이다. 지역주민들에게 혁신도시가 합리적으로 결정돼야할 절박성을 재차 확인해주는 노력도 요구된다. 그래야 혁신도시로 선정되지 못한 지역에서 향후 빚어질 수도 있는 심리적 공황(恐慌)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