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청 이전을 둘러싸고 벌써부터 각종 후폭풍이 예고되는 등 상황이 예사롭지 않다. 도청 유치를 위해 인접 시·군 간에 연합 전선을 구축하는 '합종연횡'이 진행되면서 권역별 세 대결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자치단체장과 광역·기초의원은 물론 지역 국회의원까지 가세, 소지역주의를 부추기고 있다. '행정도시건설' 문제 등으로 잠시 미뤄졌던 도청이전 논의가 재 점화되면서 당초 우려했던 일들이 현실로 드러나고 있다.

유치경쟁 수준을 넘어 시·군간 여론몰이가 횡행하고, 특정지역이 이전 후보지로 결정됐다는 유언비어가 유포되면서 그야말로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내년 5월 말 차기 지방선거를 맞아 도청이전문제를 정치적 입지를 세우기 위한 '실적 쌓기 명분용'으로 활용하려는 뒤틀린 인식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도청 이전 예정지가 확정되기도 전에 도민간 갈등의 골만 깊어지고, 땅값 상승을 부채질하는 등 돌이킬 수 없는 후유증만을 자초할 텐가.

도청 예정지는 개발가능성, 지역균형발전과 미래지향적 잠재가치 등 이전에 따른 파급효과를 종합적이고도 객관적으로 평가해 결정돼야 할 사안이다. 행정도시와의 시너지 효과는 물론 개발과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지속가능성'에도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무엇보다 지역발전의 전기로 삼으려는 도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된 가운데 그 과정이 축제로 승화돼야 마땅하다. 이런 과제를 모두 담아 도청 예정지가 확정될 경우에도 실제 도청이전까지 넘어야 할 산이 그리 만만치? 않다. 3조 5000억원에 달하는 도청 이전 재원조달 방안조차 막막하기 때문이다. 실정이 이런데도 벌써부터 소지역 이기주의를 촉발하면서 정치적 잇속까지 챙기려 해서야 되겠는가.

해법은 도청의 유치로비에 치중하는 데 있지 않다. 각 지자체가 도청 예정지로 확정될 수 있도록 비전 및 유인책 제시는 물론 여타 도민이 수긍할 수 있는 수준의 윈윈방안 강구에 지혜를 모아야 한다. 예정지에 대한 공정한 선정과정을 마련, 투명하게 진행하는 데 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행정도시를 비롯해 공공기관 이전, 기업도시 선정 등이 좋은 선례다. 도청 이전은 충남의 재도약 호기이자 지역 민주화 역량에 대한 시험무대임을 잊어서는 안 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