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용 전기료가 너무 비싸 일선 학교들이 교단 운영에 적잖은 애로를 겪고 있다고 한다. 심지어 불볕더위에도 에어컨 가동은 엄두도 못 낼 정도라니 고충을 알만하다. 급기야 충남도교육청을 중심으로 전국 시·도교육청이 교육용 전기료 인하를 촉구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먼저 이들의 전기료 인하 주장이 타당성이 있는지부터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국전력은 업종에 따라 9개 항목으로 전기요금을 분류하고 있다. 학교는 교육용으로 별도 적용된다. 일반용 전기요금을 100으로 할 경우 교육용은 93.6%, 산업용은78.2%, 농업용은42.1%로 돼있다. 교육용 전기료가 농업용보다 두 배 이상 높고, 산업용보다도 15% 이상 높다는 것은 상식적인 수준에서도 납득하기 어렵다. 전기료를 내려달라는 교육현장의 목소리가 결코 엄살이 아님을 입증하는 대목이다.

결국 교육여건 개선 사업에 써야할 학교운영비가 전기료에 충당돼 교육개혁을 역행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 일선 초·중·고교가 납부하는 공공요금 중 절반은 전기요금이 차지할 정도다. 대학교는 더욱 심한 편이다. 충남대는 지난해 40억 9000만원의 공공요금 중 57%인 23억 3000만원을 전기료로 납부했다. 나머지 대학들도 형편은 비슷한 실정이다.

요즘 교단 선진화사업과 함께 학교환경이 확 바뀌고 있는 추세다. 이제 급식시설과 냉·난방 설비를 갖추지 않은 학교는 거의 없다. 일부 학교들은 운동장을 개방해달라는 주민들의 요구에 부응해 밤에도 운동장에 불을 밝혀야 하는 입장이다. 하지만 대부분 학교들이 전기료 부담 때문에 시설을 제대로 가동하지 못하는 처지다. 학생들의 불만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전기료를 아끼기 위해 보충수업을 꺼리는 학교까지 나오고 있다.

학교와 교실환경을 아름답고 쾌적하게 가꾸는 일이 구두선으로 이뤄질 수는 없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사회적인 합의다.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에게 감성과 이성, 그리고 인성이라는 총체적인 교육 및 학습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최소한의 여건은 만들어줘야 하지 않겠는가. 산업자원부와 한전은 교육용 전기요금을 농업용 내지는 산업용 수준으로 대폭 낮추는 방안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