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여행 기회 확대를 위해 도입된 '여행 바우처' 제도가 겉돌고 있다. 3개월 이상 근무한 평균 월소득 170만원 이하의 중소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정부가 여행비용의 30%(15만원 이내), 사업주가 30%를 각각 부담해 주는데도 이 제도가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외형상으로만 보면 여가선용, 심신 재충전으로 근로의욕 확대를 목표로 하는 관광복지 서비스라는 점에서 획기적인 사업이라 할 만하다.

주5일 근무제 확산으로 여가시간을 가족 단위의 건전한 국내 여행문화로 연결시켜 내수관광 활성화와 근로자 복지를 함께 확충하겠다는 당초 취지야 말로 권장해야 할 사안이다. 경제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마당에 영세 근로자의 생산 복지문제는 해당 기업에서도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신청률이 기껏해야 5~9월 기간 목표치의 3%선에 머무르고 있다. 당초 입안 단계에서부터 현실을 외면한 탁상공론에다 홍보 부족이 맞물린 탓이다.

우선 고용기업체의 여건과 이해확산이 선결요인이다. 기업 입장에서 보면 지속되는 경기침체 속에 4대 연금 부담도 힘겨운 터에 여행경비까지 보조하기엔 버거울 것이다. 수혜근로자 추천시 사업체 고유 권한으로 자발적 선택이 강조된다지만 보조금의 경우 준조세 성격이 강해 이에 대한 홍보와 이해부족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업체 부담을 보전할 만한 인센티브제 도입 등의 보완책이 뒤따라야 한다. 수혜조건도 융통성 있게 조정하여 보다 많은 혜택이 가능하도록 특별기간 설정 등이 필요하다.

관련 기획상품 299개가 선정돼 국민관광시대의 조기정착 가능성을 보여준 것은 그나마 다행스러운 일이다. 국토 중심부의 대전, 충남·북 지자체와 관련 업계도 편리한 접근성과 풍부한 관광, 문화, 역사자원을 엮어 매력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나서기 바란다. 여행바우처 제도 보완 못지않게 중요한 것은 이 제도 시행에 따른 지역경기 활성화와 지역 홍보효과를 간과할 수 없는 까닭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