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의 날 특집] 첫발 땐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2023년 출범 50돌… 글로벌 혁신거점 도약 위한 대전시 역점사업
지역경제 활성화·출연연 협업 플랫폼 구축·기술창업 생태계 조성
제도 개선·부지 매각 등 난제 산적… 市,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추진

▲ KAIST 중심으로 찍은 대덕특구 전경. 대덕연구개발특구 제공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은 오는 2023년 출범 50주년을 맞는 대덕특구의 기능 및 공간 활용을 재구성해 글로벌 혁신거점 도약을 위한 대전시 최대 역점 사업이다. 지난 40년간 국가 과학의 중심지였던 대덕특구가 시민과 소통하고 융합할 수 있는 ‘도시형 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된다는 뜻이다.

1970년대 국가연구활동 집적지인 대덕연구단지를 중심으로 조성된 대덕특구는 그간 과학기술 및 국가산업 등 우리나라 경제발전에 핵심 축을 담당해 왔으나 그간 R&D 중심이라는 한계로 국가와 지역경제성장을 견인하는 데 정체를 겪는 것이 사실이다.

시는 올해 시는 올해 대덕특구 리노베이션 사업 명목으로 국비 10억원을 확보하고 이달 중 마스터플랜을 수립하는 등 본격적인 사업 추진에 나서고 있다.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이 지역을 넘어 국가 차원에서도 반드시 실현해야 할 과업임을 적극 천명하고 있는 것이다. 4차 산업혁명 등 글로벌 경제변화 흐름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의 추진방향과 풀어가야할 문제 등에 대해 알아본다.

◆‘도시형 혁신공간’… 대덕특구 재창조

추진방향은 크게 세 가지다. 기업 유치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계기 마련, R&D기술 사업화를 위한 △출연연 협업 플랫폼 구축, 장기적으로는 △기술창업 생태계 구축(일자리 창출)이다.

시가 대덕특구에 체절개선을 요구한 가장 큰 이유는 ‘생산성 하락’ 때문이다. 따라서 특구 내 유휴 공간 등 미개발지를 중심으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거점공간을 구축하겠다는 것이 사업의 골자다.

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대덕특구를 고밀도 ‘도심형 혁신공간’으로 재탄생 시켜 연구·개발(R&D) 성과물이 사업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이를 위해선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이 국가주도의 범부처 협력 사업으로 추진돼야 그 실현성을 담보할 수 있다. 미래 과학·산업을 위한 혁신거점으로 재탄생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되려면 반드시 필요한 부분이다.

시는 리노베이션을 통해 신기술 연구개발 기반 조성을 위한 ‘산학연 융합혁신역량 제고’, 특구 연구개발(R&D)기술 사업화를 위한 ‘플랫폼 및 관련 인프라 구축’을 통해 기술사업화 역량 강화에 방점을 둘 계획이다. 또 연구단지 R&D성과와 창업의 연계한 ‘기술창업 혁가생태계 조성’, 대덕특구 R&D성과를 기업 활동과 연계하는 ‘과학산업기반 산업단지 조성’ 등을 위한 일련의 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다.

▲ 혁신클러스터 도입 가능 시설들. 대덕연구개발특구 제공
◆빅데이터·AI·로봇, 신기술·신산업 육성

대덕특구 리노베이션은 기업·청년과학자·창투사 등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재구성해야 한다. 대전 팁스타운 설치, 산업별 첨단지식산업센터 설립 등 민간 참여를 통한 고밀도 복합개발로 창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등 도시의 역동성도 부여한다.

또 규제샌드박스를 지정해 신기술·신산업에 대한 규제 혁화 및 특구리노베이션을 위한 입지규제 완화 등 우선 적용하는 ‘규제제로 특구’를 지정한다.

세부 방안으로는 대덕특구 유휴부지에 소규모·고밀도의 도시형 복합혁신지구를 5~7곳 조성한다. 도시의 역동성, 밀도감, 지식의 소통 등이 특구 내·외부로 환류 될 수 있는 공간기능을 확보하고, 과학자 및 청년들이 특구의 기초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창업에 활용한다. 이를 다시 연구기관에 환류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등 혁신(창업)생태계를 조성하는 방향 등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또 특구 내 일부 공간을 바이오, 블록체인, 빅데이터, AI, 로봇 등 신기술·신산업 분야의 테스트베드 및 규제혁신존으로 조성해 대덕특구를 4차 산업혁명 특별시의 핵심거점으로 활용할 방안도 포함될 계획이다.

소수 입주기관(정부출연연, 기업연) 위주의 저밀도 토지 활용으로 고밀도 복합개발로 특구 내 토지활용 다양화·고도화를 추진한다. 대덕특구 유휴부지에 신동·둔곡 과학벨트 등에 첨단지식산업센터 등 고밀도·소규모의 창업과 벤처입주에 적합한 공간을 제공한다.

대덕특구가 소수의 연구기관 및 연구원들을 위한 공간에 머물지 않고 지역사회(시민) 및 산·학·연 교류·협업의 열린공간 조성으로 융합공동연구 및 기술사업화, 소규모 창업공간 제공에 따른 창업활성화 등 혁신성장 생태계 구축의 초석이 될 수 있다.

특구 내 소규모 창업 및 산학연간 교류·협업의 혁신생태계 조성하고 연구기관·기업·과학자·창투사 등이 어우러져 융합공동연구 및 기술사업화 활성화의 혁신거점으로서 기능과 역량 제고할 수 있다.

◆공론화, 범부처 협력… 갈 길은 멀다

리노베이션 사업은 이제 겨우 첫발을 뗀 셈이다. 제도 개선, 부지 매각 등 현실적으로 넘어야 할 산이 산재해 있다.

먼저 시가 원하는 범부처 협력 사업으로 추진될 수 있는지에 대한 문제다. 대덕특구는 초기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서 범부처 성격으로 조성됐지만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관리 부처가 되고 있다. 현재 리노베이션 TF 역시 과기정통부, 대전시, 특구재단 및 관계 전문가가 참여하고 있지만 범부처 협력 사업이 되려면 보다 다양한 주체들의 목소리가 담겨야 한다.

시는 지난달 더불어민주당 예산정책협의회 당시 대덕특구 재창조사업을 건의하며 총리실 산하 범부처 TF를 요청했다. 또 오픈플랫폼 및 창의혁신공간 조성 등과 관련해 대덕특구 재창조 선도과제 국비 지원 건의한 바 있다. 대덕특구 내 출연연·기업연을 비롯한 주민 등 토지소유주들의 복잡한 이해관계 역시 장기적으로 풀어가야 할 숙제다.

현재 대덕특구에는 26개 출연연구기관들과 KAIST와 UST 등 교육기관 7곳, 국공립 연구기관 3곳, 기타 연구기관 9곳 등 총 45곳의 공공·민간연구기관이 위치해 있다. 이들의 적극적인 협조 없이 지자체 행정력만으로 추진되는 토지활용 고도화 사업은 결코 쉽지 않은 작업이다.

한 리노베이션 TF 관계자는 “대덕특구 출범 50년을 기점으로 추진하고 있지만 절대 만만치 않은 사업”이라며 “하드웨어식의 공간 조성 외에도 연구원 문화, 복지 등 그 안에 소프트웨어적인 컨텐츠가 담겨야 하기 때문에 관련 전문가들의 다양한 의견이 필요하고 공론화 작업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