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인력 고령화·인재 유출↑
4차 산업 경쟁력 강화 시급
“창업 혁신지구 역할 수행해야”


[충청투데이 최윤서 기자] 대덕연구개발특구(이하 대덕특구)가 4차 산업에 대응하기 위해선 기존 R&D특구를 넘어 과학기술 ‘창업 혁신지구’로 경쟁력 갖춰야한다는 정책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대전세종연구원은 정책연구 자료인 ‘대덕연구개발특구 내 도시형 혁신공간 창출방안’을 통해 대덕특구의 기능 및 역할이 재정립돼야 한다고 제시했다.

대덕특구가 민·관·산·학·연 협업 및 기술창업 등을 통해 혁신주도형 경제구조로 전환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선 혁신 거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는 도시형 혁신모델로 성공적으로 평가되는 판교밸리와 한계에 직면한 1970년대 저밀도 과학연구단지 모델인 대덕특구가 비교된 결과다.

과거 공급자 중심의 국가 정책에서 멈춰 있는 대덕특구는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해 나가지 못하고 있다는 평을 받고 있다. 연구환경의 악화 및 연구 시설 등 노후화 인해 우수한 인재들이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고 연구 인력의 고령화 추세 또한 가속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판교 테크노밸리 등과 같이 민간 기업 주도의 개방형 혁신공간 조성되며 경쟁력도 갈수록 저하되는 상황이다. 미흡한 기술사업화 및 특구 내 낮은 토지 효율성도 이에 한몫한다는 지적이다.

연구원은 대덕특구 혁신을 위한 중점과제로 창업 혁신지구로서의 역할을 강조함과 동시에 신기술·신산업기반 혁신의 경제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대덕특구가 위치한 대전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과학기술 창업도시로 기능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미다.

무엇보다 국가혁신융복합단지를 중심으로 다양한 혁신주체들(정부, 대학·연구소, 기업, 시민)간 협업 문화를 이끌어 내야 한다는 점을 피력했다. 이를 위해선 지자체 차원의 지속적인 산업입지 정책 마련과 행·재정적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와 함께 토지활용 고도화를 위한 규제완화 등 제도적 개선도 이뤄져야 한다.

연구원 관계자는 “기존 연구기관 중심의 폐쇄적 저밀도 토지활용에서 보다 다양한 혁신주체에 의한 협력문화가 뿌리 내릴 수 있는 혁신경제 플랫폼 구축이 요구된다”며 “이밖에 공공(임대)지식산업센터 건립과 규제샌드박스 도입을 통한 기업 혁신활동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전했다.

최윤서 기자 cys@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