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칼럼-김대환.jpg
김대환 충남본부 취재부장

일본은 역사 앞에 진정으로 반성하지 않고 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일본 정부와 위정자들은 자국이 일으킨 전쟁으로 인해 피해를 입은 많은 사람들에 대한 진정한 사과를 외면하고 있다.

사과는 커녕 아베 정부의 핵심인사들은 궤변에 가까운 망언을 시도때도 없이 뱉어내고 있다.

‘위안부는 일부 부모가 딸을 팔아 넘긴 것’이라는 망언을 한 인물을 내각에 중용하고 총리 자신도 전범들의 위패가 있는 신사를 참배하는 것을 강행하고 있다.

그러면서 일본 보수 신문인 산케이 신문은 문재인 대통령이 김구, 안중근, 윤봉길 열사 묘소를 참배하는 것을 놓고 테러리스트를 참배한다며 시비를 걸고 있다.

뿐만 아니라 역사 교과서를 왜곡하고 올해 초에는 신년사를 통해 군대 보유와 전쟁을 금지하고 있는 평화헌법 개정을 국정목표로 삼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정치적 이익을 위해 갈수록 우경화 되고 있는 일본에 대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들이 많은 우려를 표하고 있지만 아베 정부는 아랑곳하지 않고 있다.

일본의 이러한 후안무치한 모습에 우리 국민들은 진정한 사과를 요구하고 있지만 역사적 사실인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서조차 책임있는 사과를 하지 않고 있다.

최근 3·1 만세운동 및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일본에 대한 우리 국민의 비판 목소리가 더욱 커지고 있다.

이러한 비판의 목소리는 과거 잘못을 솔직하게 인정하고 반성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논리에서 시작된다.

같은 맥락에서 이제 우리는 우리의 역사도 객관적으로 돌아봐야 한다. 최근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이 2차 회담을 가진 베트남은 과거 미국과 긴 전쟁을 벌였다.

1965년부터 1973년까지 우리정부는 베트남에 32만여명의 군인을 파병했고 이 가운데 5000여명이 그곳에서 목숨을 잃고 1만 6000여명이 부상을 당했다.

다른 나라의 전쟁에서 우리 젊은이들이 피를 흘린 점은 몹시 안타깝지만 그 과정에서 일부 군인들이 베트남 민간인에게 자행한 학살은 역사에서 지울 수 없는 일이다. 과거 우리정부는 민간인 학살과 관련한 사과를 외면해 오다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 시절 우회적이지만 사과의 뜻을 전했고 문재인 대통령도 지난해 해외순방 당시 유감의 뜻을 전달한 바 있다.

그러나 베트남 꽝남성 하미마을에서 우리 군이 대부분 여성과 어린이이던 민간인 130여명을 학살하고 가매장한 사건을 생각하면 단순한 사과가 아니라 진정성 있는 사과와 보상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

젖먹이부터 2살, 3살, 4살 어린생명들이 차디찬 구덩이에서 처참하게 죽어가던 모습을 하미마을 생존자들은 아직도 생생하게 기억하고 있다.

‘박항서 매직’으로 인해 우리나라에 대한 우호적인 분위기가 생겨난 것은 사실이지만 아직도 베트남 국민들의 가슴 한켠엔 그들이 세워 놓은 증오비 만한 앙금이 남아 있을 것이다.

‘베트콩과 민간인을 구별할 수 없어 어쩔 수 없었다’는 변명은 위안부 문제를 놓고 증거가 없어 사과할 수 없다는 일본의 작태와 다르지 않다. 적어도 우리는 후안무치한 일본과는 다르게 상처받은 베트남 국민들에게 진정으로 사과하고 또 사과하고 반성하고 충분하게 보상해야 한다.

진정으로 우리의 과거를 돌아보고 베트남과 함께 더 나은 미래로 함께 걸어가는 모습을 전세계에 보여줬으면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