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강혁 대전시 시민안전실장

지난해 12월 22일 사망자 430여명 이상이 발생한 인도네시아 순다해엽을 강타한 쓰나미 피해가 막대했던 이유는 재난 예·경보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주민들에게 상황을 알려야 할 인도네시아 당국은 발생 초기까지 쓰나미는 해저에서의 급격한 지각변동으로만 발생하고 이번 경우처럼 크라카타우 화산이 분화하며 바다 속 화산의 일부분이 무너져 쓰나미가 발생한다는 사실조차 판단하지 못한 채 20m의 해일이 마을을 덥치고 나서야 경보를 발령해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재난 예·경보체계 문제는 이번 뿐만이 아니다. 지난해 9월 28일 발생한 술라웨시섬을 덮친 강진과 쓰나미는 '크리스마스 악몽'으로 불리는 2004년 대참사 이후 동남아 최대의 자연재해로 기록되어 사망 2081명, 실종 1373명이 발생했고 흙더미에 묻혀 사라진 마을이 다수여서 정확한 피해규모를 가늠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오게 된 가장 큰 원인중 하나가 재난 예·경보체계의 붕괴다. 규모 7.5 강진과 쓰나미와 같은 자연재난은 현실적으로 예보가 어려워 엄청난 피해가 수반됨에도 불구하고 해외 언론에 따르면 지난 14년간 10번의 지진(쓰나미)을 겪으면서 구축한 재난 예·경보시스템의 허술한 관리가 인명피해를 눈덩이처럼 키웠다.

아세안 국가들은 쓰나미 공동 대처를 위해 '아세안재해정보네트워크(ADInet)'를 통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위험 및 재해에 대해 조기 경보하고 경과를 모니터함과 동시에 데이터를 재난관리자, 정책입안자, 과학자 등을 연결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과학기반 재난관리 플랫폼(ASDMP)'을 구축했지만 두 번의 지진에는 유기적으로 작동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원거리 도서지역의 지진파 관측장비는 전력공급이 안됐거나 도난을 당해 먹통이 됐으며 심지어는 쓰나미 해제 경보후 곧바로 쓰나미가 다시 마을을 덥치는 어이없는 일까지 발생하여 대형참사로 키웠다.

보통 이러한 재난발생시 관리체계는 예방·대비, 대응, 복구단계로 이뤄지는데 특히 대응단계시 신속 정확한 예·경보는 인적·물적 피해규모를 결정할 만큼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많은 재난전문가들은 지난해 두 번의 인도네시아 강진도 이미 구축된 시스템만 유기적으로 관리되어 발령되었더라면 재산 피해는 불가피했겠지만 인명피해는 대폭 줄였을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대전시는 올해부터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재난 예·경보 체계를 운영한다. 지능형 재난 예·경보체계는 대전 지역에 존재하는 기상정보, 지진계측, 방사능, 대기오염, 재난위험험지역정보, 화학물, 재난상황정보, 영상감시장치(CCTV) 등의 다양한 재난관련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 분석하는 재난빅데이터분석시스템으로 한층 고도화된 종합 재난대응체계를 갖추게 되고 각종 재난유형에 대한 룰기반의 재난대응 시나리오를 개발, GIS에 표출하는 재난통합관제시스템을 구축하며 IoT센서 및 1009대의 CCTV를 활용한 위치기반의 재난에 대한 투망식 감시체계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반으로 긴급재난 상황 예고정보를 긴급재난문자(CBS), SMS, 음성방송, 전광판, SNS 등을 통해 시민들에게 신속하게 전달 할 수 있는 원클릭 재난전파가 가능해져 대전형 스마트 재난예·경보체계가 가동되면 '시민 안전'이라는 시정의 최고 가치를 실현하는데 한 발짝 더 다가갈 것으로 확신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