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연구재단, 좋은 일자리 창출 방안 보고서 발간
기술창업 고용규모 월등… 3년 생존율도 매우 높아

극심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과학기술 기반의 창업활성화 정책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최근 한국연구재단이 발간한 ‘청년 눈높이에 맞는 좋은 일자리 창출 방안’ 보고서를 보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지난해 18.4조원, 올해 24.2조원의 일자리 예산이 배정됐다.

일자리 예산 확대로 전체 고용률은 2016년 66.1%에서 지난해 66.6%로 소폭 증가했으나, 청년층(20~29세)은 58.3%에서 57.5%로 낮아졌다.

청년들이 직업과 직장 선택에서 고려하는 요소들도 점차 변하고 있어 단순히 급여를 높이는 것으로 고용률을 개선할 수 없다. Y세대(1981~1995년생)로 불리는 청년들은 삶과 일의 유연성을 열망하고, 지속적인 직업과 개인 발전을 복지의 중요한 요소로 판단한다.

업무의 자동화 등으로 일자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청년들이 원하는 좋은 일자리는 기존 기업보다 창업기업을 통해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한 고급기술 창업은 일반 창업 대비 높은 경제적 파급효과를 창출한다는 점에서 좋은 일자리 창출의 구심점이 될 수 있다.

국내 과학기술 기반 기술창업의 경우 기업당 평균 고용규모가 9.5명으로, 전체 창업기업 평균(2.85명)보다 많다. 대표적인 기술창업인 연구소기업의 경우 최근 5년간 매출과 고용은 각각 연평균 39.9%, 39.2% 성장했다. 무엇보다 창업기업의 3년 생존율이 82%로 일반기업(38%) 보다 월등히 높다.

문제는 공공기술을 기반으로 창업에 나서려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적어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다.

2015년 기준 대학과 공공연구소 등 공공연구기관의 누적기술 보유건수는 총 29만3237건, 기관당 평균 누적보유 기술은 1051건으로 집계됐다.

반면 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술을 활용해 창업한 건수는 197건에 불과했다. 연구자 및 기관의 직접 창업이 174건, 기술이전을 통한 신규 설립 기업이 23건이었다.

이처럼 기술기반 창업이 활발하지 않은 이유로 창업 기업에 대한 정부 지원이 성공 가능성과 기술성에 편중돼 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과감한 창업도전이 이뤄지고 성장성이 높은 유니콘기업이 나오기 위해선 기술중심에서 사람중심으로 창업지원 체계를 개편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기술력이 우수한 석·박사급 청년창업인재의 과감한 육성체계를 마련하고, 대학원생에 대한 창업교육을 강화해 창업에 대한 동기유발도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연구재단 관계자는 “창업 아이템을 평가해 자금을 지원하는 것이 아닌 창업 동기가 높은 핵심인재를 우선 선발하고 일정 기간의 훈련을 거쳐 비즈니스 모델 개발과 필요한 기술을 정부가 지원하는 정책 추진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재근 기자 jack33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