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부터 적용되는 새 대학입시제도에 따른 각 대학들의 전형계획이 빨라야 하반기에나 마련된다는 데 우려치 않을 수 없다. 교육부가 대학별로 구체적인 자체 전형계획을 빨리 확정, 발표토록 했다지만 연말까지 모든 전형계획이 취합될 수 있을지도 미지수다. 첫 적용을 받는 고교 1년생들이 이미 첫 중간고사가 끝난 시점인데 도대체 무슨 기준에 맞춰 준비하라는 것인지 무책임하기 짝이 없다.

수능시험성적이 영역·과목별 등급 제공으로 바뀌고, 내신이 절대평가와 상대평가를 절충한 형태로 매겨지는 상황에서 대학이 우수 학생을 뽑을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한다는 게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학생부 반영 과목과 원점수·석차등급의 반영방법과 비율, 모집시기별 서류평가, 면접시 교과·비교과 영역의 반영 여부와 비율 등 전형요소가 복잡해진 탓이다. 특목고와 이공계 및 외국어계열 동일계 특별전형 도입 여부와 농어촌 및 지방도시 학생, 실업계 고교생, 저소득층 비중 등 다양한 지표 또한 반영해야 한다. 경쟁 대학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는 심정은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학생들은 높아진 내신 성적 비중, 다양한 적성과 능력 함양을 요구하는 새 대입제도로 인해 고교 3년 동안 수능시험 때만 겪던 긴장상태를 항시 유지해야 하는 입장을 감안해야 한다. 고교에 입학하자마자 희망하는 대학을 선택하고, 12차례 치러지는 중간고사와 학기말고사, 예체능과목부터 봉사와 특기활동까지 엄정히 관리해야 하는 부담을 안고 있지 않은가.

극심한 불안을 겪고 있는 학생과 학부모의 처지를 감안한다면 문제 해결의 열쇠를 쥐고 있는 대학이 '예측 가능한 입시'가 되도록 전형계획을 조속히 내놔야 마땅하다. 대학간 협의를 통해 최소한 지침만이라도 합의를 통해 마련할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차일피일 미룰 성질의 것이 아니다. 정부도 대학들이 참조할 수 있도록 전형계획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토론회 자리 등을 제시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