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데이 포럼]
장원철 단국대학교 교무처장


‘4차 산업혁명’이라는 화두가 몇 해 전부터 꾸준히 회자되고 있다. 그것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드물지 몰라도, 기존 산업현장에서 인간이 수행하던 역할을 인공지능 컴퓨터가 대체하는 것에 대한 우려 섞인 목소리는 주변에서 흔히 들어볼 수 있다. 올해 청년실업률이 10%에 이른다거나 6개월 이상 장기실업자가 외환위기 극복 이후 최대치라는 기사들은 이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사람들로 하여금 예년과는 또 다른 경각심을 들게 한다.

사실 위와 같은 문제는 우리에게 새로운 것이 아니며 정부와 각 경제주체들 및 대학을 비롯한 교육기관들까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왔다. 산·학 협력 사업이 그러한 노력의 한 예이다. 대학과 기업은 서로 간의 협력을 통해 소기의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학자들은 연구 내용을 실제 산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었고, 학생들은 채용 보장 프로그램 등을 통해 취업 걱정을 덜고 원하는 분야의 학업에 매진할 수 있었다. 기업들은 협력의 결실로서 기술을 이전받고 내실 있는 우수인재들을 공급받을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현재와 같은 경제적 난관에 봉착한 것을 보면 기존의 산·학 협력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았던 것 같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을 더 보태야 할까. 물론 여러 가지 보완점을 찾아볼 수 있겠으나 가장 주목해야 할 요소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이다. 최근 산·학·관 협력을 통해 낙후됐던 도시가 재생되고 활력을 띠게 된 사례들이 해외에서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각 지역 대학 내 교수와 학생들을 비롯한 연구자들은 상대적으로 해당 지역에 대한 정보에 밝고 애착이 강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지역사회와 긴밀히 연관된 문제를 다룸에 있어 유리하다. 기업의 입장에서도 지역 내에서 특별히 부각되는 수요를 포착해 공략한다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효과적이고 안정적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이렇듯 지역사회라는 요소를 가미하는 것만으로도 기존 사업의 실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오랜 시간 동안 산·학 협력 사업에서 지자체의 역할은 대부분 재정적 지원에 국한됐다. 그러나 당면한 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지자체가 보다 적극적으로 산·학·관 협력을 이룰 수 있도록 나서야 한다.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개선점을 찾는 과정 전반에 관심을 갖고 참여하며 급변하는 산업 현장에 발맞춰 적절한 규제지원 및 행정지원을 펼쳐야 한다.

2016년 다보스 포럼 일자리 보고서에서는 다가올 4차 산업혁명에 따라 향후 5년 간 약 7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지고 200만 개의 일자리가 새로 생겨날 것이라는 관측을 내놨다. 이 수치가 들어맞는지의 여부와는 관계없이 일자리 감소에 대한 충격을 완화하고 새로이 각광받는 일자리 수요에 대응해야 함은 자명하다. 지자체, 그리고 시민들이 함께 지역사회에 필요한 산업 수요를 포착·전달하고 기업과 대학이 지역사회와 상생할 수 있는 토양을 다져나간다면 다가올 변화의 실체가 무엇이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