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로2]
라돈주택·라돈침대…라돈공포 확산

 

 

 

23면-대진침대 피해보상 촉구.jpg
▲ 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지난 21일 서울 원자력안전위원회 앞에서 대진침대의 소비자피해보상 등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100세 시대다. 그냥 사는 게 다가 아니다. '건강'하게 살아야 한다. 고로 '웰빙'이 떴다. 좋은 거 먹고, 좋은 거 보고, 좋은 생각하며 살았다. 일할 땐 일하고 휴식도 취했다. 그런데 '아차' 싶다. '1급 발암물질'을 곁에 두고 몰랐다. 적과 동침을 했다. '라돈'은 토양이나 암석에 존재하는 우라늄이 붕괴해 생성되는 자연방사성 물질이다. 무색·무미·무취다. 공기 중에 떠다니는 아주 흔한 물질이다. 하지만 고농도를 오래 보면, 다르다. 세계보건기구 국제암연구센터는 라돈을 흡연에 이은 ‘2대 폐암 발병 원인’으로 추정했다.

☞주택도 논란이 됐다. 대전지역 주택의 12.8%가 라돈 기준치를 초과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주택 10곳 중 1곳은 위험에 노출된 셈이다.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대전 주택의 평균 라돈 수치는 111.94Bq/㎥로 전국 평균(95.54Bq/㎥)보다 높았다. 전국 17개 광역시·도 중 강원, 전북 이어 세 번째다. 심각한데, 심각성은 잘 모른다. 저감 정책도 미흡하다.

☞방안까지 위협했다. '라돈 침대'도 논란이 됐다. 한 주부가 우연히 휴대용 라돈 측정기를 침대 위에 올려놓으면서 시작됐다. 요란한 소리가 나며, 기계의 최대치가 나왔다. 주부는 기계 고장인 줄 알았다고 한다. 업체를 불렀으나 더 충격적인 사실과 마주했다. 정밀 측정 결과, 침대 위에서 2000Bq/㎥의 라돈이 검출된 것이다. 현재 국내 실내 공동주택 라돈 기준치는 200Bq/㎥이다. 이 침대의 '모나자이트'(희토류 광물)가 원인이었다. ‘우연’이 발견한 위험이었다. 리콜 요청은 2만 건이 넘었다. 피해자들 2000여 명은 집단소송에 참여했다. 대책을 요구하며 거리로 나왔다.

☞혼란도 키웠다. 원안위는 처음 연간 외부피폭 방사선량이 안전 기준(1밀리 시버트)에 미치지 못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5일 만에 뒤집었다. 2차 조사에선 피폭선량 허용치를 최대 9.35배까지 초과한다는 결과를 내놨다. 업체는 1달 내 수거를 약속했다. 밀봉 비닐도 제공했다. 그래도 불안함은 여전했다. 밖에 놓아도 문제다. 이웃들이 두려워했다. '라돈 측정기' 품절 대란도 일어났다. 문제가 된 '모나자이트'는 건강팔찌·벽지·화장품 등에도 쓰인다. 정부는 '모나자이트'를 건강 기능성 제품으로 특허까지 내줬다. 제대로 된 조사가 없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해야 한다. 전반적인 조사·조치가 필요하다. '제2의 가습기 살균제 사태'는 안 된다. 편집부 김윤주 기자 maybe0412@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