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직률 5%… 5년만에 최고, 근무환경 개선 등 병행해야

자발적 또는 비자발적으로 중소기업에서 짐을 싸는 인력의 비율이 갈수록 늘어나면서 중기업계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중소기업 취업자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의 단기 처방보다는 근무환경과 기업문화 개선 등 중장기적 처방이 필요하다는 업계의 지적이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9일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노동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이직률은 5.0%로 2012년 5.4% 이후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또 중소기업 이직자 69만 5339명 중 54.2%인 37만 7145명은 비자발적인 이직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반해 300인 이상의 대기업 이직률은 2.8%로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10년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이로써 중소기업과 대기업간 이직률 격차는 2.2%p로 2010년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로 벌어진 상황이다. 이처럼 중소기업 '탈출'이 갈수록 늘어나는 배경에는 대기업과 연봉 격차가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분석이다.

실제 통계청의 일자리 행정통계 자료를 보면 근속 기간 1년 미만인 근로자의 월평균 소득은 대기업 238만원, 중소기업 161만원으로 근속연수 5년 이상∼10년 미만이 되면 2136만원의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에 전문성을 키우기 어려운 환경, 정규직 일자리가 부족한 데 따른 미래 불안감 등 노동환경에 대한 불만도 전반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게 지역 중기업계의 설명이다.

이를 이유로 정부가 발표한 청년 일자리 정책을 향한 한계성 지적이 지역에서 잇따르고 있다. 정부는 청년들을 중소기업 일자리 20만개로 유도하기 위해 3~4년 동안 한시적으로 1000만원의 소득을 보전하는 등의 정책을 내놓았지만 소득 보전뿐만 아니라 근무환경과 기업문화 개선을 위한 중장기적 처방을 함께 제시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지역 중기업계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현 지원책이 입사 초기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낼 가능성이 있으나 시간이 갈수록 커지는 격차를 메우기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과거 유사한 정책이 결과적으로 실패한 데에는 부실 중소기업 또는 부적격 청년에 대한 지원이 이뤄졌기 때문이란 사실을 반면교사 삼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연봉 외에도 노동시간, 일자리 안정성, 장래 전망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각종 지표의 격차가 중소기업 이탈 가속의 요인인 만큼 근무환경과 기업문화를 바꾸는 등 중장기적 처방이 우선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인희 기자 leeih5700@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