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시의 10년 묵은 숙원사업인 옛 충남도청사 부지 국비 매입 추진이 마침내 물꼬를 텄다. 내년도 정부예산에 매입비 80억원이 반영된 것이다. 총 매입비는 802억원으로 이번에 확보된 80억원은 총 매입비의 10%에 불과하지만 마중물이란 점에서 의미가 있다. 무엇보다 국가가 나서 매입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건 전향적 조처다. 소유권 관계가 정리돼야 후속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칠 수 있다.

돌이켜보면 옛 충남도청사 부지 매입을 둘러싸고 여러 우여곡절이 있었다. 지난 2006년 충남도청이 홍성으로 이전하면서 충남도청사 부지 문제가 현안으로 떠올랐다. 충남도는 부지 매각대금을 신청사 건립비 등 재원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대전시가 부지를 매입하면 되지만 재정형편이 여의치 않았다. 그래서 국가가 옛 충남도청사를 매입하고 대전시에 양여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옛 충남도청사 매입은 이명박 정부와 박근혜 정부 때도 뜨거운 감자였다. 지자체 소유 재산을 정부가 매입한다는 게 녹록치 않았다. 문재인 대통령도 옛 충남도청사 이전부지 조기 활용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국가가 매입해 활용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국비가 확보됨에 따라 대전시는 예산부담을 덜게 됐다. 추후 정부에 예산을 요구할 수 있는 명분도 생겼다.

옛 충남도청사 활용방안이 과제로 떠오른다. 매입이 마무리 되면 정부가 직접 활용하거나 대전시에 무상양여 또는 장기대여 하는 방안이 나올 수 있다. 국립근현대사박물관 건립, 문화예술복합단지 조성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제시됐지만 말 뿐이었다. 옛 충남도청사를 어떻게 활용하느냐는 주변의 도시재생사업과도 깊은 연관이 있다. 지금부터 차분히 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원도심 활성화의 기폭제로 삼아야겠다. 옛 충남도청사에는 시민대학과 대전시 도시재생본부, 대전세종연구원 등이 입주해 있다. 하지만 도청사가 빠져나간 뒤 도심공동화를 해결하는 데는 역부족이다. 쇠락한 상권을 회복하고 사람이 몰리는 장소로 거듭나야한다. 첫 예산은 확보됐지만 800억원에 달하는 매입비는 여전히 큰 짐이다. 매입비 확보에 더 매진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