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지역의 구제역 파동과 인천 강화지역과 강원도에서의 돼지 콜레라 등으로 산지 돼지값이 생산비를 밑도는 수준으로 폭락, 또 다시 돼지파동의 조짐이 나타남에 따라 양돈농가들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게 됐다. 생필품에서 공산품에 이르기까지 물가가 치솟고 있는데도 돼지값은 성돈(100Kg) 기준으로 13만원대까지 떨어져 양돈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특히 돼지 콜레라의 발생까지 겹쳐 내년 봄으로 예정됐던 수출개시 시점마저 지연될 상황이어서 양돈농가들의 근심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돼지값이 지속적으로 폭락하는 것은 수출재개에 대비해 사육두수를 계속 늘려왔으나 지난 5월 구제역 파동으로 대일 수출이 막혀 국내 유통이 늘어났고, 계절적으로도 비수기가 겹친 탓도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게다가 돼지 콜레라의 발생이 소비부진을 부채질함은 물론 앞으로 수출재개 시점마저 지연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에 이래저래 양돈농가의 걱정은 늘어만 가고 있다.

?이렇듯 산지 돼지값은 계속 하락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돼지고기 소매가격은 이전과 별 차이가 없어 결국 양돈농가와 소비자만 골탕을 먹는 셈이다. 특히 이러한 상황은 소비증가를 가로막아 돼지값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당국의 대책이 요구된다. 그동안 이러한 현상이 계속 반복되고 있는 것은 당국의 고기 수급정책이 총체적인 수급 측면을 고려하지 않고 정치적인 고려로 가축 사육농가 위주의 지원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고질적 악순환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비합리적인 유통구조와 중간상인들의 농간을 차단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모색돼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산지의 출하가격이 떨어지면 소비자 가격도 자동적으로 내리는 소위 가격연동제가 철저히 지켜지도록 행정지도와 감독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시장기능에 의해 자동적으로 조절·해결되도록 유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국이 소비자들의 비선호 부위에 대한 수매를 적극 검토하고 각급 학교의 학교급식에 돼지고기의 소비를 장려하는 등의 행정지도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당국의 철저한 역학조사가 진행돼 구제역이나 돼지 콜레라의 감염경로를 파악, 추가발병과 확산의 악순환을 막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양돈농가들도 스스로 방역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 벼농사 위주의 농업이 경쟁력을 상실한 만큼 축산으로라도 농가소득이 안정적으로 보장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당국의 농민에 대한 최소한의 배려일 것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