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 둔산동 한 빌딩 지하에서 지난 9일 저녁 38구경 권총 실탄과 가스총 등이 무더기로 발견돼 군과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비닐 봉지안에는 가스총 1개와 38구경 권총 실탄 56발, 훈련용 모형 수류탄 3개, 수갑 9개가 있었다고 한다. 인명 살상용 총기류가 이토록 도심에 방치돼 있었다니 모골이 송연해진다. 출처 규명과 더불어 또 다른 범행 여부도 밝혀내야 마땅하다.

총기 유출 경위가 핵심이다. 38구경 권총은 경찰이 주로 사용하는 총기다. 신분증도 발견됐다. 군경은 신분증의 이 남성이 의무경찰 출신 전역자인 점을 주목하고 총기 관련성 확인에 나섰다. 그러나 신분증 주인이 이미 지난해 사망한 것으로 확인돼 뭔가 석연치 않다. 가스총과 실탄 등이 발견된 지하 1층은 한때 주점이었으나 현재는 영업하지 않는 곳이라고 한다. 영업장소에서 총기류가 발견된 것도 의문투성이다.

그러잖아도 엽기적인 총기 사고가 빈발한다. 결국은 허술한 총기 관리가 문제다. 불순한 목적을 위해 총기류를 불법으로 빼돌린 후 여차하면 범행을 실행하는 사례가 어디 한둘이었던가. 이밖에도 밀수 등에 의한 무기 밀거래도 성행한다. 총기류 밀반입 적발 건수는 2013년 103건에서 2015년엔 128건으로 증가했다. 온라인에 떠도는 총기제작법으로 사제총기를 만들어 범행에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사제 총기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그 성능도 상향되고 있어 우려감을 키운다.

‘총기 청정국’은 옛말이 되고 말았다. 얼마나 많은 무기류가 시중에 은닉돼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기 조차 어렵다. 지난 4월 경북 경산시 농협 강도 사건에 사용한 것도 45구경 권총으로 드러났다. 작년 10월에는 출동한 경찰관이 폭행 사건 피의자가 쏜 사제총에 맞아 숨진 사건이 서울에서 발생했다. 대검자료에 따르면 총기사용 범죄는 2010년 66건에서 2015년 187건으로 3배 수준을 육박한다.

불법총기로부터 시민을 보호하려면 총기 관리를 사전에 제대로 하는 수밖에 없다. 너무나 쉽게 총기를 손에 넣을 수 있는 세상이다. 불법소지에 의한 총기는 필연적으로 또 다른 범행으로 이어지는 구조라는 점을 결코 지나쳐선 안 된다. 불법 무기 유통경로를 사전에 차단하는 선제적인 관리 및 불법 총기 단속 등 총기 범행에 대한 전천후 대응력을 키워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