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남지역 대기오염측정소가 15개 시·군, 25곳으로 확대된다고 한다. 도내 모든 시군에서 미세먼지 등 대기오염물질 측정이 가능해진다는 의미다. 그간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측정소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왔던 터라 일단 획기적인 조치임에 틀림없다. 다만 정확한 측정과 효율적인 오염원 관리의 문제는 여전히 남는다.

충남은 석탄화력발전소를 비롯해 철강, 석유화학 등 산업시설 가동으로 인해 미세먼지에 대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크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환경정책이 수도권 위주로 이뤄지고 있다. 전국 264개 측정망 중 42.8%가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편중됐고, 특히 지방에서도 농촌지역은 상대적으로 측정망 설치가 힘든 구조다. 충남은 11곳에 설치되지 않아 전국 하위권을 맴돌고 있었다. 현행 도시대기측정망 설치기준이 전형적인 탁상행정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소할 수 있게 됐으니 천만다행이다.

지리적으로 중국 황사와 미세 먼지 등 오염원의 직접적 피해 당사자인 충남으로선 민감한 문제다. 대기질의 예·경보시스템의 정확성에 비중을 둬야 마땅하다. 장차 한·중 간 대기 오염원 원인규명 및 책임 그리고 재발방지책을 둘러싼 갈등이 예고돼 있는 마당이다. 지난해 5월 17~22일 NASA와 공동으로 조사한 결과 오염의 60%가량이 중국발(發)인 것으로 조사된바 있다. 이를 정식으로 의제화하려면 미리 체계적이고 정밀한 데이터 축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충남의 산업시설 특성 및 분포도에 따라 권역별로 세분화해서 오염도를 정밀 측정, 이를 예보할 수 있어야 한다. 측정 항목은 미세먼지(PM10, PM2.5)를 비롯해 오존(O3), 이산화황(SO2), 이산화질소(NO2), 일산화탄소(CO) 등이다. 측정 자료는 실시간 대기질 공개 홈페이지(에어코리아)를 통해 도민에게 전달된다고 한다. 전광판이나 소셜미디어(SNS) 등을 통해서도 대기질 현황을 공개하고, 미세먼지나 고농도 오존 발생 시 문자 알림 서비스도 병행할 계획이다.

충남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과 미세먼지주의보 발령 일수만 따져도 그 지표가 심각한 수준이다. 환경 취약지역 주민 건강에 대한 인과 관계 규명 작업은 정확한 오염물질 측정이 전제돼야 가능한 일이다. 측정망의 배치 못지않게 중요한 건 정확한 예·경보 시스템의 확립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