行首기획단 해체 … 관련업무 동향관리가 고작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인 '연기·공주 행정중심복합도시 특별법안'이 난항 끝에 국회를 통과했으나 충북도는 정작 '먼 산 바라보듯' 뒷짐을 지고 있어 눈총을 사고 있다.

충북도는 당초 지난 2003년 7월 1일 기획관실 내에 서기관을 단장으로 하는 행정수도 추진기획단을 구성, 5명의 직원을 배치했다.

그러나 지난해 8월 17일 조직 개편 과정에서 이를 해체하고, 바이오산업추진단 사업지원과 내 사업지원팀에서 팀장을 포함해 3명의 직원으로 줄여 후속대책 관련 업무를 수행토록 하고 있다.

그나마 이들의 업무는 시민사회단체의 대정부 건의 및 궐기대회 등 동향을 관리하고, 명절 때 톨게이트 등에서 홍보물을 배부하는 것이 고작이다.

이와 달리, 충북도와 같이 행정도시의 배후도시로 떠오른 대전시는 지난해 10월 신행정수도 위헌 결정 이후 '신행정수도 특별대책반'을 '신행정수도 지속추진단'으로 대체·편성, 다각적인 지원활동을 전개하고 있어 대조를 이루고 있다.

행정도시 건설의 직접적인 수혜지역인 충남도가 부이사관을 단장으로 하는 '신행정수도 건설 추진지원단'을 구성, 24명의 직원들이 각종 지원계획을 수립하는 등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것에 비하면, 사실상 일손을 놓고 있는 셈이다.

따라서 인구 40만명가량의 행정도시가 건설되면 충북지역은 핵심 배후지역으로서 상생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국가 균형발전 및 지역 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와 함께 청주·청원 등 주변 지역의 부동산 투기 등 역기능을 차단하고, 행정도시라는 초대형 호재를 충북 발전의 디딤돌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생 발전을 위한 해법을 도출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에 대해 바이오산업추진단 관계자는 "충북지역은 직접적인 토지 보상지역이 없고, 헌재의 위헌 결정 이후 직접적인 예산 수립도 어려워 직제를 축소·개편하게 됐다"며 "현재로서는 특별한 직제 신설이나 개편 등의 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