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민간 공모 실패로 표류 중이던 대전 안산지구 첨단국방산업단지(안산국방산단) 조성 사업이 공공개발 방식으로 재추진된다고 한다. LH는 대동·금탄 스마트융복합산업단지 개발도 추진키로 대전시와 협의했다는 보도다. 그간 양측이 내부적으로 검토 절차를 거쳐 공공개발방식으로 결정했다고는 하나 여전히 변수는 남아 있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를 지향하고 있는 대전시로서는 전략상 주요 고비에 들어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안산국방산단 개발 구상은 야심찬 프로젝트로 출발했으나 추진 동력을 확보치 못해 우려감을 키워온 대표적 지역현안이다. 2021년까지 159만7000㎡ 부지에 7500억원을 투입, 국방 관련 기업 160곳을 유치하는 것으로 돼 있다. 당초엔 국방관련 계열사를 보유한 한화가 민간개발사업자로 뛰어들 것이라는 기대감을 키웠다. 지난해 12월 대전시는 국방과학컨벤션센터 조성 업무협약을 체결, 명실상부한 국방산업의 메카로 육성시키려는 의지의 일단을 내보이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민간유치 공모 결과 사전에 참여의사를 밝혔던 2개의 기업마저 응모하지 않았다. 허망한 일이었다. 불발된 건 안산산단 지하철 역사 신설 등의 공모조건에 부담을 느껴서라고 한다. 토지보상 부담도 한몫을 했다. 민자방식 실패 이후 대전시는 재공모 여부를 싸고 오락가락했다. 우여곡절 끝에 공공개발방식으로 선회했지만 넘어야 할 산이 적지 않다.

계획대로라면 이 구상은 3500여명의 고용창출과 연간 1조7000억원대 경제유발 효과가 기대되는 프로젝트다. 국방관련 기업 유치가 바로 최대 변수다. 산업단지만 덜렁 건설해 놓을 수야 없지 않은가. 기업이 안산국방산단을 외면하는 일은 없어야 하겠다. 민자의 경우 선(先)입주업체 유치, 후(後)개발 방식으로 추진하는 이유다. 국토부의 투자선도지구 지정도 이끌어내야 할 과제다. 2007년 군수사령부의 대전 이전효과가 당초 기대에 크게 못 미쳤던 이유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인근에 있는 군수사령부를 비롯해 교육사령부, 자운대,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신뢰성센터, 계룡대에 있는 육·해·공군 본부 등과 연계할 수 있는 특화된 국방산업메카로 육성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 있다. 대덕특구의 다양한 연구개발 인프라도 주목할 대목이다. '4차산업혁명 특별시'라는 전체적인 그림에 활력을 불어넣는 요소가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