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충북·충남 3개 광역자치단체의 6개 시군이 행정구역 단위의 칸막이를 허물고 대전의료원 설립에 공동 대응키로 한 것은 이례적이다. 대전시를 비롯해 충북 옥천·보은·영동과 충남 계룡시·금산군 등 6개 지자체가 어제 '공공의료안전망 구축 및 재난공동대응 협약'을 체결했다. 의료원 설립을 위한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 선정될 호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는다.

협약은 의료수급 패턴이 대전지역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는 현실적인 특성에서 비롯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각 시군의 대전지역 의료기관을 이용률은 금산 82.7%, 옥천 66.3%, 계룡 79.6%, 영동 84.4%, 보은 20.2%에 달하고 있다. 대전 중심 공동의료생활권이 구축된지 오래다. 대전의료원이 설립될 경우 대전은 물론 상대적으로 의료취약지역인 인접 시군의 공공의료기능까지도 수행할 수 있다.

각 시군마다 의료 인프라를 별도로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도 어렵다. 옥천의 경우 분만취약지역이지만 보건복지부의 분만 취약지 선정기준에 제외돼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전의료원에서 광역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를 구축하면 분만·응급의료 취약지역에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2009년 신종플루, 2015년 메르스 사태에서도 겪었듯이 체계적인 공공보건의료기관으로서의 책임과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감염병 대응체계 구축 등을 위해 이들 시군이 공동협력키로 한 의미를 지나칠 수 없다.

지난 2월 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에서 탈락한 바 있는 대전의료원 설립 구상이 이제야 제 방향을 찾은 것 같다. 당시 탈락 이유는 다른 사업에 비해 시급성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점 때문이었다. 오는 11월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중부권 거점 공공 의료기관으로서의 콘셉트를 십분 살릴 필요가 있다. 디테일까지 충분하게 보완하기를 바란다. 문재인 대통령도 대전의료원 설립을 대선공약으로 제시한 만큼 공약 이행차원에서 접근할 명분이 충분하다.

협약이 현실화될 경우 지역주민의 건강권 확보와 공공의료안전망 구축에 그치지 않고 지역 간 의료불균형 해소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여러모로 볼 때 공익성이나 사업성, 지역개발 등 미래가치를 담보한 차별화·특성화된 스타일이라는 점을 빼놓을 수 없다. 인접 지자체와의 공동대응력이 한층 높아져 다행스럽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