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세종시=행정수도' 완성 작업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다는 건 크게 환영할 일이다. 정부가 수도권 공공기관의 세종시 집단 이전을 공식 추진하기 위해 수요조사를 하고 있다고 한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도 자체 유치활동과 더불어 공공기관 이전 대비 입주단지 조성에 나섰고, 세종시도 사전작업을 추진 중이다. 전국 10개 혁신도시에 이전하려던 수도권 공공기관을 세종시에도 적극 유치하는 의미가 크다.

당초에는 세종시 이전 대상기관으로 미리 선정된 중앙행정기관과 소속기관, 연구기관 위주로 이전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현재 세종시 이전 정부기관 및 소속기관은 모두 40개이고, 정부출연연구기관은 15개에 달한다. 2012년 시작된 중앙행정기관 및 연구기관의 이전이 지난 1월 국토연구원 입주를 끝으로 완료된 터라 추가 이전 수요를 조사하는 것이라고는 하나 문재인 정부의 행정수도 완성 의지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국회분원 설치는 물론 행자부·미래부 세종시 이전, 행정수도 명문화 개헌 등의 대선 공약도 실현돼야 한다.

출범 5주년을 맞은 세종시로서는 무척 고무적이다. 2030년까지 행정수도라는 국책도시의 정체성을 살리려면 무엇보다도 공공기관 집적화가 필수적인 까닭이다. 행복청이 정부와는 별도로 개별협상을 통해 선박안전기술공단 등 8개 공공기관을 유치하기로 확정한 상태로 이를 위해 세종시 1-2생활권에 1차 집적화단지를 조성중이다. 세종시 차원에서도 도시재생과 연계, 조치원서북부지역에 수도권 공공기관 단지를 마련한다고 한다.

공공기관이 외면하는 세종시란 있을 수 없다. 수도권 공공기관들이 세종시에 이전할 수 있는 메리트를 미리 제시해줘야 하는 이유다. 한때 이전 대상기관들이 세종시 이주를 꺼렸던 이유를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행복청은 정부 추진의 수도권 공공기관 이전에 대비, 2차 공공기관 집적화단지 후보지를 지정, 제공할 계획이다. 조성원가 수준으로 부지를 공급하는 것도 시의적절한 대책이다.

수도권 공공기관의 세종시 이전 수요 결과가 어떻게 나올 건지 관심사다. 수요 조사 결과 이전 범위 결정, 세부조정을 거쳐 이전계획을 확정하기까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해당 기관종사자의 불편 해소를 위한 여러 지원도 감안해야 한다. 세종시 정주여건을 제대로 갖추는 일이 시급하다. 공공기관 집단이전에 대한 치밀한 전략이 절대적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