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우 YTN 청주지국장
[낱말속 사연]

함흥차사(咸興差使). 심부름 간 사람이 돌아오지도 않고 아무런 소식도 없음을 일컫는다. '함흥'은 함남 지역 명이고 '차사'는 중요 임무를 띠고 파견하던 임시 벼슬이다.

조선 초 두 차례의 '왕자의 난'이 그 사연이다. 태조가 후처(선덕)의 둘째 방석을 세자로 세우자 본처(선의) 아들들, 특히 방원이 난을 일으켰다. 본처 둘째 방과(정종)에게 자의반 타의반으로 왕위를 물려준 태조는 이 꼴 저 꼴 보기 싫다며 고향 함흥에 은거했다. 왕위를 놓친 방원은 2차 왕자의 난을 일으켜 태종이 됐다. 형제들을 살해하면서까지 왕위를 차지한 방원에 대한 태조의 분노는 극에 달했다. 이에 태종은 수차례에 걸쳐 '차사'를 보내 태조의 노여움을 풀려했다. 태조는 차사를 오는 족족 활로 쏘아 죽이거나 가두어 돌려보내지 않았다. 함흥에 간 차사가 끝내 돌아오지 않았다. 함흥차사의 유래다.

급기야 태조 친구, 판승추부사 박순이 자청해 나섰다. 행궁이 보이자 끌고 가던 새끼 말은 나무에 매어두고 어미 말을 타고 갔다. 어미 말이 자꾸 뒤돌아보며 머뭇거려 나아가지 않으려 했다. 태조는 행궁에 도착한 박순을 반갑게 맞으며 정담을 나눴다. "새끼 말을 매어 둔 것은 무슨 까닭인가?" "길 가는 데 방해가 되어서요. 한데 어미와 새끼가 차마 서로 헤어지지 못했습니다. 지극한 정 때문인가 봅니다." 대답을 마친 박순은 오열했다. 상왕도 감동, 눈물을 줄줄 흘리며 박순과 입궐을 약속했다.

태조는 이어 "내일 새벽닭이 울기 전 영흥의 용흥강을 통과하여라. 그렇지 않으면 그대는 죽음을 면치 못하리라"고 했다. 태조 신하들이 박순을 죽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태조 신하들은 박순을 죽여야 한다고 간언했다. 태조는 허락의 조건을 달았다. "박순이 용흥강을 지났거든 죽이지 마라." 신하들이 강에 도착하자 박순이 배에 올라 출발하려던 참이었다. 그들은 박순을 배에서 끌어내려 죽였다. 박순은 신하에게 말했다. "신은 비록 죽으나 성상께서는 식언하시지 말기를 원합니다." 태조는 그 후 입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