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연구단지에서 일하는 고급두뇌의 이직행렬이 좀처럼 멈출 줄을 모른다. 한나라당 김희정 의원이 중앙대 국가정책연구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정부출연 연구기관 종사자 가운데 50%가 이직을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연구소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어서 41.5%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실제로 2001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정부출연 연구기관을 떠난 고급두뇌는 850명을 넘어섰고 이 중 37%인 310명이 대학으로 옮겨갔다. 대덕단지 연구인력의 이직행렬은 92년 467명을 시작으로 93년 482명, 94년 324명, 95년 407명, 96년 310명 등 해마다 200~300명 이상씩 떠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같이 정부출연 연구소에 몸담고 있는 연구인력의 유출은 결코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그러나 정부가 지난 91년 대덕단지에 있는 연구기관에 대한 평가작업에 이은 연구소 통폐합과 연구인력의 정예화 과정에서 비롯되기 시작한 이직현상이 수그러지지 않고 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 같은 현상이 자칫 대덕연구단지가 생명력을 잃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앞서기 때문이다. 고급두뇌들이 연구소를 평생직장으로 인식하기보다 정년이 보장되는 대학교수 등 안정적인 직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것은 대덕단지가 세계적인 과학기술의 요람으로 발전하는 데 장해 요인이 되지 않을지 우려되는 대목이다.

문제는 대덕단지를 안정적인 직장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데 있다. 걸핏하면 연구소의 통폐합과 민영화가 거론되는 데다 일관성 없는 과학기술정책이 이들로 하여금 장래에 대한 불안감을 갖게 하는 원인이다. 따라서 더 늦기 전에 우리의 고급두뇌가 대덕단지에서 평생을 몸담고 싶어 하도록 신분과 소득 면에서 특별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오늘날과 같은 경제전쟁시대에 있어서는 기술개발로 국가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것은 정해진 이치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요람인 대덕단지가 언제까지나 매력적인 연구단지가 되도록 특단의 조치가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