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문재인 대통령이 취임과 더불어 '탕평·통합·소통'에 방점을 찍은 총리 인선에 이어 '개혁성'이 두드러진 청와대 인사 등을 잇따라 단행했다. 새 정부가 정권 인수 과정 없이 출범한 터라 내각을 비롯해 정부조직 고위 인사의 골격을 미리 검토할 여유도 없이 곧바로 인사 절차에 들어가는 수밖에 없다. 고금을 막론하고 정권 성패의 첫째 요인은 인사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문 대통령은 취임 이틀째인 어제 청와대 민정수석에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홍보수석에는 윤영찬 전 네이버 부사장, 인사수석에 조현옥 이화여대 초빙교수를 각각 임명했다. 장관급인 국무조정실장에는 홍남기 미래 창조과학부 1차관을 임명했다. 파격적인 메시지가 담긴 인사 스타일이다. 문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읽을 수 있는 대목이 여럿이다.

민정수석에 조국 교수를 임명한 것은 검찰·사법 개혁과 권력기관 개혁의 신호탄이나 다름없다. 민정수석에 비(非) 검찰 출신의 소장파 교수를 발탁한 것은 이례적이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민정수석은 모두 검찰 출신이었다. 검찰 요직 인사권을 청와대가 틀어쥐고 검찰을 정권 강화 수단으로 악용해왔다. 이른바 '우병우 사단'이 그 대표적이다. 민정수석이 제 역할만 했어도 박근혜·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 그래서 나온다.

정치권력으로부터 검찰·법원·권력기관의 독립성·중립성을 보장하는데 반대할 명분도 없다. 김수남 검찰총장이 어제 잔여임기 7개월을 남겨놓고 사의를 표명해 검찰 물갈이가 본격화 될 것으로 보인다. 국무조정실장에 홍 차관을 앉힌 것에서도 능력과 소신 중심의 공직자를 발탁하겠다는 의지를 읽을 수 있다. 청와대 인사수석과 총무비서관 인사 또한 마찬가지다. 속살까지 자기 사람을 심는 방식을 탈피, 전문성을 중시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렇다면 곧 이어질 장·차관과 각급 기관장 그리고 공기업 인사에서도 새 정부의 신선한 인사원칙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인가. 역대 정권에서 특정 지역 및 계파에서 소외된 나머지 인사차별 대우를 받아온 충청권으로선 최대 관심사다. 문 대통령이 취임사에서 밝혔듯이 전국적으로 고른 인사, 능력·적재적소 인사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과거처럼 또 다시 선거 당시의 논공행상으로 자리를 나눠 먹는 구태가 지속될 것인지 지켜보자. 여기에 정권의 진정성이 담겨 있다고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