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카락의 100분의 1에 불과한 얇은 ‘인체 정보 센싱 디스플레이’ 원천 기술이 개발됐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은 3일 박철민 연세대 교수팀이 디스플레이 자체적으로 지문 등 전도를 띄는 인체정보를 감지해 화면에 표시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현재 사용되는 유기발광다이오드(이하 OLED) 기반 디스플레이는 센서와 디스플레이가 분리돼 있다.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유기발광보드(이하 OLEB)는 하나의 장치가 센서와 디스플레이를 동시에 담당한다.

이를 통해 전기적 신호 처리 구조가 단순해져 디플레이가 머리카락 100분의 1 두께인 500㎚ 수준으로 얇아졌고, 더 유연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OLEB 구조는 기판 위에 하부전극이 분리돼 위치하고 그 위로 발광을 맡은 유기발광층, 방광 성능을 맡은 기능층을 쌓은 후 절연체가 놓여 자체 발광이 일어난다.

특히 OLED는 직류로 구동하는 것에 비해 OLEB는 교류에 의한 전기장을 기반으로 작동해 직류를 교류로 전환하는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을 갖고 있다.

박철민 교수는 “OLEB에 전도성을 가진 연필로 자유롭게 글을 쓰면 자체발광을 통해 표시할 수 있고 작성된 글씨를 화학적으로 지우고 다시 다른 정보를 쓸 수 있다”며 “앞으로 휴대용, 차량용 디스플레이를 비롯해 광고용 스마트 윈도우 등 차세대 디스플레이 산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정재훈 기자 jjh119@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