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애 수필가
[에세이]

눈이 펑펑 쏟아지던 날, 포르투갈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주제 ‘사라마구(Jose Saramago)’가 쓴 '눈먼 자들의 도시'를 펴들었다. 그는 갑자기 눈이 멀어버린 사람들의 세계를 보여주며 인간의 본질과 가치에 대한 의문을 던진다. 사라마구는 자칭 만물의 영장이라 하는 인간이 이기심과 소유욕으로 얼마나 악해지고 처참하게 무너지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그러면서 한편으론 그 추락한 인간들이 한 여인을 통해 어떻게 구원되는지도 보여준다.

어느 날 운전을 하던 한 남자가 신호를 기다리던 중 갑자기 원인을 알 수 없는 백색 실명자가 된다. 안과 진료를 받지만, 병의 원인을 알아내기도 전에 그와 접촉한 사람들이 연쇄적으로 실명하는 상황이 벌어진다. 전염병 같은 실명이 확산되자 정부는 그들을 격리시켜 폐원된 한 정신병원에 강제로 감금한다. 그때 실명되지 않은 안과의사의 아내가 함께 동행하게 된다.

익숙했던 일상으로부터 추방된 사람들의 삶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처참하다. 무분별하게 버려진 배설물과 쓰레기더미를 비롯해 무참히 죽은 사람들의 사체가 부패하며 내뿜는 악취는 역겹고 고통스럽다. 그들을 보호하고 책임져야 할 정부는 오히려 인권을 말살하고 범죄를 부추긴다. 이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인간의 생존본능은 광기에 가깝다. 선을 가장했던 악마의 모습을 가차 없이 드러낸다. 안과의사의 아내는 눈먼 자들이 벌이는 이 생지옥의 아수라장을 고스란히 지켜볼 수밖에 없다. 눈뜬 자이기에 그녀의 고통은 더 처절하다. 그러한 상황에서도 그녀의 내면 의식은 깨어있다. 무질서와 폭력에 조용하고 차분하게 저항한다. 그녀의 따뜻한 모성적 사랑은 절망 속에서 희망을 끌어내고 위기를 극복하는 법을, 연대하는 법을 알려준다. 그녀는 파멸돼가는 인간관계를 회복할 수 있는 위대한 모태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대지이다.

작가가 보이고 싶은 것은 눈먼 자들의 도시는 곧 우리의 모습이며, 지구촌의 모습이다. 국가 간의 이념 전쟁과 권력을 쟁취하기 위한 정쟁뿐만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는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쟁취하려는 군상들의 모습이다. 작가 사라마구는 인간의 본질과 가치를 잃어버린 원인이 관계의 단절, 소통의 부재에서 오는 것임을 말하고 있다. 그러면서 의사의 아내처럼 눈먼 사람들 속으로 들어가 고통을 나누고 사랑할 때 곤두박질쳤던 세상은 희망찬 미래로 나래를 펴고 힘차게 날아오를 수 있다는 것을 깨우친다.

눈을 뜬다는 것은 움켜쥐고 있는 것으로부터 해방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우리는 움켜쥐고 있는 것을 놓으려 하지 않는다. 아니 더 강하게 움켜쥐고 광란의 질주를 계속하고 있다.

우리가 눈을 뜨기 위해선 함께 공존하는 세상을 만들어야 한다. 암흑 속에서 서로서로 손을 내밀어 포용하고 융합할 수 있는 새로운 가치를 찾아야 한다. 지금 우리에게 절실하게 요구되는 것은 화해와 용서다. 눈이 멀었던 자들이 눈을 뜨며 '보인다'라고 외쳐대듯 우리의 함성이 될 수 있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