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우 농가에 위기감이 증폭되고 있다. 장기적인 경기침체와 청탁금지법 시행 등으로 한우 소비가 크게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구제역까지 번져 사면초가에 휩싸였다. 그러잖아도 값싼 수입산이 넘쳐나면서 한우 규모 및 매출 등이 지속적인 감소세를 기록하고 있다. 한우 농가를 둘러싼 경제 내외적 어느 요인 하나도 녹록치가 않다. 한우농가 기반이 송두리째 뽑혀나갈 판이다.

구제역이 확산되면 한우 소비 심리도 얼어붙을 게 뻔하다. 조류인플루엔자(AI)가 확산되면서 닭고기 소비가 급감한 것과 같은 이치다. 닭고기를 익혀먹으면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도 닭고기 소비가 크게 줄었다. 한우 또한 시세가 생산원가를 밑도는 바람에 적자를 감수하는 농가들이 속출하고 있다고 한다. 거세우와 6~7개월 수송아지 농가 판매가는 청탁금지법 시행 이후 각각 12.8%와 20.3% 하락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지난해 9월 청탁금지법시행으로 한차례 직격탄을 맞은 한우 농가가 이제 또 다시 구제역 파동을 겪고 있다. 쇠고기 자급률이 지난해 37.7%까지 추락했다. 자급률이 40% 아래로 내려간 것은 2003년(36.3%)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국내 소비 쇠고기 물량의 60%를 수입하고 있다고 해서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구제역이 확산되고 살처분하는 한우가 많아지면 한우 소비심리는 물론 가격에도 변화가 뒤따를 것이다. 국내 한우산업 보호를 위한 비상한 대책이 필요해 보인다.

충남의 경우 2012년 한우 사육두수가 41만 5000마리였던 것이 지난해 35만 5000마리로 6만 마리나 줄었다. 충남의 한우 대표브랜드인 '토바우'의 위상 변화를 미뤄 짐작할 수 있다. 전국적인 현상이긴 하나 한우 산업의 위축 요인은 2001년 쇠고기 수입 전면 자유화와 더불어 값싸고 질 좋은 수입산이 국내 식탁을 점령한 데서 찾을 수 있다. 소 값 불안정으로 인해 축산농가의 부담이 늘어났고, 장기불황 등에서 비롯된 내수부진도 한 몫을 하고 있다.

당장 구제역이 확산되지 않도록 초동방역에 한 치도 소홀함이 없어야 하겠다. 구제역이 번지면 살처분·매몰하는 후진적인 방역시스템만이 능사는 아니다. 서로 '남탓'을 하는 정부 불신의 구조도 문제다. 빈약한 우리 한우산업기반을 초토화 시킬 수는 없다. 한우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각 분야별 장단기 대책이 절실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