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대전·세종·충남북 4개 시도의 대선 공약 과제 40개가 어제 제시됐다.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 이후 조기 대선이 예상됨에 따라 충청권 시도지사들이 대선 후보자들에게 지역현안의 대선 공약화를 위해 나선 것이다. 충청권 시도지사가 대선정국에서 지역의 미래 경쟁력을 키우고 지역현안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공동대응하기로 한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지역과제의 개괄적인 구도를 한 눈에 살필 수 있다. 지역 특성 및 성장 동력 발굴에 역점이 주어졌다. 거시적으로는 실질적인 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실현을 지향하고 있다. 중앙정부에 과도하게 집중된 권한의 분배, 중앙과 지방의 역할 재설정, 지방정부의 입법·재정·행정 권한 확대 등을 포함한 '지방분권형 개헌',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는 '행정수도 개헌'을 촉구했다는 건 괄목할 만하다.

대전시의 경우 제4차 산업혁명 특별시 육성, 글로벌 분권센터 건립, 대전교도소 이전 등을 꼽았고, 세종시는 국회·청와대 세종시 이전, 세종~서울 고속도로 조기 개통, 광주~청주 고속도로 조기 건설 등을 공약화해 줄 것을 제안했다. 충남도는 경부고속도로 확장, 보령~울진 고속도로 건설, 국도 38호 노선 지정 및 사업 추진 등을, 충북도는 중부고속도로 확장, 국가 X축 고속 교통망 구축, 청주국제공항 경쟁력 강화 등을 각각 제시했다. 각 지역별 숙원 사업이 실행력을 담보할 경우 충청권 상생발전의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의 지역공약에 이를 편입시켜야 하는 1차 관문이 남아있다. 충청권이 각 정당과의 유기적인 대화채널을 공동운영할 필요가 있다. 충청권뿐만 아니라 각 시도 역시 지역 현안의 대선 공약화를 위해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다. 대선은 ‘내 고장 발전 어젠다’를 관철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이를 통해 지역 정치력 및 역량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시대다.

역대 선거에서 충청표심이 승부를 가르는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왔지만 막상 공약 이행률에서는 신통치 않았던 게 그간 경험칙이었다. 박근혜 대통령의 경우 지난 대선 당시 경합지역인 충청권에 가장 많은 지역 건설공약(전국 51개 가운데 18건)을 약속했지만 정작 공약 이행은 영남·수도권 위주로 진행했다. 공약화에 그치지 않고 이를 이행하도록 촉구 감시하고 책임을 묻는 일련의 정치과정이 필수적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