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출수·매몰지 부족 우려
랜더링·소각 등 추진해야

충남지역에 조류 인플루엔자(AI) 공포가 고개를 들고 있는 가운데 살처분 방식 개선은 지지부진해 우려를 낳고 있다.

정부가 살처분 매몰 방식의 환경피해 가능성을 고려해 2014년부터 FRP탱크 매몰, 호기호열 매몰 등의 개선된 살처분 방식을 사용하고 있지만, 이 역시 매몰 방식이다보니 침출수, 매립가스 문제 등에서 완전히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에서다.

1일 충남도에 따르면 지난달 23일 아산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2개 시, 4개 농가에서 AI가 발생해 닭·오리 8만 944수에 대한 살처분이 진행됐다. 살처분 방식은 크게 FRP탱크 매몰과 호기호열 매몰로 나눠 추진됐는데, 아산 1개 농가는 호기호열로, 천안 3개 농가는 FRP탱크로 처리됐다. 문제는 FRP탱크 방식과 호기호열 방식이 일반 매몰방식에 비해 진전된 매몰 방식이지만, 결국 매몰 방식으로 언제든지 침출수, 매립가스 등의 문제점에 노출될 수 있다는 점이다.

우선 FRP탱크 방식은 유리 및 카본 섬유로 강화된 플라스틱계 탱크에 가금류를 밀봉해 부패시키는 방식으로 예전 단순 매몰의 침출수 가능성을 현저히 낮춰주는 장점이 있다. 다만 부패를 위해 지상으로 파이프를 연결하면서 매립가스로 인한 악취 문제가 발생하고, 3년이라는 다소 긴 부패 처리기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호기호열 방식은 예전의 단순 매몰에서 벗어나 매몰지를 판 뒤 부직포→비닐→배관→돌→미생물→사체→미생물→흙→비닐 등의 순으로 제작한다. 이 경우 미생물을 통해 6~8개월이라는 짧은 시간에 사체 처리를 할 수 있지만, 부패하면서 나는 악취는 여전한 문제로 지적된다. 또 FRP탱크 방식과 달리 밀폐 방식이 아닌 만큼 비닐이나 차수막 등이 손상될 경우 침출수 및 사체 유출은 언제든지 발생 가능하다. 매몰 방식은 이외에도 매몰지 공간 부족 문제로 이어질 가능성도 농후하다.

이에 매몰방식이 아닌 랜더링(소각 후 비료 사용), 소각 등의 방식을 채택해 환경오염 가능성과 매몰지 부족 사태 등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 관계자는 “도내 이동식 소각차량이 1대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소규모 소각이 가능한 정도로 정부 차원의 관련 인프라 구축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라며 “랜더링 및 소각 등의 방식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에서 인프라 구축, 예산 지원, 소각차량 민간 위탁 운영 등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명석 기자 hikms123@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