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산업단지(대전산단) 재생사업의 행정절차가 모두 마무리됨에 따라 본격 추진 구조의 틀을 갖추게 됐다. 국토교통부가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지구(변경) 지정 및 재생시행계획을 승인·고시했다. 2009년 9월 노후산업단지 재정비 우선사업지구 선정, 2012년 9월 28일 재생사업지구 지정을 거쳐 이번에 재생시행계획 승인으로 모든 행정절차가 완료된 것이다. 지난해 8월 기공식을 가졌지만 별다른 진척이 없던 터라 향후 추이를 주시할만하다.

1970년대 조성된 대전산단은 노후화로 그 존재가치가 날로 희미해지면서 경쟁력 확보문제가 최대 과제로 떠올랐다. 전통적인 제조업종이 많아 환경 유해 논란, 교통문제까지 겹쳐 각종 민원이 그치지 않았다.그러던 차에 사업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는 건 무척 다행스러운 일이다. 당초 재생 프로젝트는 현실성 차원에서 의문이 제기돼 왔다.

재생사업은 총사업비 4472억원으로 대규모 사업이다. 사업비 부담으로 민간사업자 선정이 지체된 바 있다. 단계적 개발방식으로 전환을 모색한 것도 그래서였다. 대전산단은 총면적 231만3000㎡의 단지를 산업시설용지, 지원시설용지, 공공시설용지, 복합용지 등 6개 용지로 구분 시행하게 된다. 우선 하반기부터 국·시비 654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2020년까지 민간·공기업 등 단계별로 투자할 예정이라고 한다. 순차적으로 사업이 추진되고는 있지만 본 궤도에 오르기에는 아직은 벅찬 실정이다.

도심 부적격 업종과 환경오염 업종 이전 문제를 순조롭게 풀어야 하는 과제가 남아있다. 업종제한 해제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온 해당업체 입장과 상충되고 있어서다. 도심형 첨단산업단지로 거듭나려면 산단 측과의 조율이 필수적이다. 산단의 경쟁력 확보차원에서 입주 업종의 산업구조 고도화 작업은 피할 수 없다. 또 하나 보상 등도 만만치 않은 난제다.

기반시설에 대한 정부의 선제적 투자가 활발해야만 재생사업도 탄력을 받을 것이라는 지적은 백번 들어도 맞는 말이다. 산단 서측 진입로(서구 둔산~산단) 개설문제가 가장 시급한 현안이다. 이 교량이 개설돼야 민간투자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산단 기반 인프라가 부족하면 민간투자 유인에 장애가 뒤따를 뿐이다. 국고지원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역역량을 모아야겠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