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섭 대전충남중소기업청장
[경제인칼럼]

기업체도 유기체와 같이 생노병사의 과정을 거친다. 창업에서부터 성장, 도약기와 쇠퇴기를 두루 거치게 된다. 그런데 수많은 창업기업 중에서 성장·도약기를 거쳐 중견, 대기업으로 생존하는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고 대부분의 기업은 더는 성장치 못하고 폐업에 이르게 된다.

그렇다면 중소기업들이 중견·대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가장 중요한 변수는 무엇일까? 필자는 기술혁신 역량의 유무라고 생각한다.

기업이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선제적인 기술혁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자본과 인력이 취약한 중소기업에게 있어서 기술혁신이란 쉽지 않은 숙제이기도 하다. 자본과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지역내 기술혁신기관의 자원과 역량을 최대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정부와 자치단체, 산·학·연 간의 협력체계는 중소기업의 부족한 자본과 인력, 혁신역량을 보완해 기술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시스템일 것이다. 정부는 기업의 기술혁신역량 강화를 위해 기업의 규모, 업력과 기술혁신 역량 등 기업의 상황에 따라 단계적 지원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은 기술혁신 역량이 부족하거나 정부 R&D 사업에 처음 참여하는 중소기업을 대학·연구기관과 연계해 지원하는 정책이다.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 사업은 1993년부터 2014까지 중기청 1조 1637억원, 지자체 3692억원의 자금을 투입해 4만 285개의 과제를 지원해 왔다.

그 동안의 성과도 막대해, 정부지원금 1억원당 매출액은 2010년 7억 2000만원에서 2013년 15억 5900만원으로 증가했다. 고용창출 효과도 2010년 7.88명에서 2013년 13.48명으로 매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성과들을 보면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은 중소기업의 핵심역량 강화와 더불어 고용창출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 창업초기 기업이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한 기술과 신제품 개발로 고성장을 이룬 예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기술혁신 역량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원천기술 개발로 자생력을 갖춘다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신기술개발에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는 중소기업의 비중이 높아지면 산업기술 전체의 발전뿐만 아니라 경제력 집중완화를 통한 국민경제의 균형발전에도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대전·충남지역은 첨단 기술집약형 중소기업이 밀집해 있고, 29개 정부출연·국공립연구기관과 32개의 4년제 대학 등 전국 어느 지역보다 기술혁신인프라가 잘 갖쳐져 있는 곳이다.

이들 기술혁신기관과 중소기업간의 적극적인 협업체계가 매우 잘 구축돼 있다는 점은 말 할 필요도 없다.

지역내 신생 창업기업이나 기술혁신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이 산·학·연 협력기술개발사업을 통해 글로벌 강소기업으로 성장해 지역경제에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해본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