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관련 가이드라인 미제공, 서울과 달리 학교 자율로 조치
말일까지 유해성 조사 완료계획

▲ 우레탄트랙 내 납이 과다 검출된 한 초교는 트랙 사용제한 안내판만 붙어있을 뿐, 접근을 막는 실질적인 방어막은 만들어놓지 않고 있다. 홍서윤 기자
대전지역 일선학교 운동장 내 우레탄트랙에서 기준치를 초과한 중금속(납)이 검출되고 있지만 사후조치는 학교별로 제각각 진행되고 있어 학생 안전을 위한 가이드라인 제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대전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이 달 말일까지 일선학교에 설치된 우레탄트랙의 유해성 조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우레탄트랙은 지난해 11월 기준 대전지역 초교 51곳과 중학교 26곳, 고교 23곳, 특수학교 2곳 등 총 102곳에 설치돼 있다. 문제는 이미 기준치를 넘는 납이 검출된 학교에서도 학생의 우레탄트랙 접근을 예방하는 조치가 저마다 다르게 진행되고 있다는 점이다.

1일 중구에 위치한 A초교는 우레탄트랙의 사용을 제한한다는 안내문은 붙어있었지만, 접근금지선이나 매트 등 트랙 내 학생들의 접근을 막는 장치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유성구 소재 B초교는 트랙을 둘러싸는 접근금지선을 설치했으며, 서구 C초교는 트랙 일부분에 차단 매트를 깔아놓고 있다. 사전에 접근금지에 대한 교육이 진행됐더라도 실제적인 방어막이 없을 경우, 호기심이 많은 아이들의 특성을 감안할 때 접근을 완전히 차단키 어려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학교별로 후속조치가 다른 데에는 교육청이 통일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은 탓이 크다. 서울시교육청은 지난달 31일 납 성분이 과다 검출된 학교에 우레탄 트랙 사용을 전면 금지하고, 트랙 주변에 안내 표지판과 안내 라인을 설치하고 학생들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덮개를 씌우라고 일괄 지시했다.

반면 대전시교육청은 트랙 폐쇄 등 세부 조치사항은 학교장 자율에 맡기고 있다. 우레탄트랙의 유해성이 아직 정확히 증명되지 않은 가운데, 시교육청이 일제히 폐쇄조치를 내릴 경우 학부모 혼란을 비롯해 학생 체육활동 등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시교육청의 설명이다. 후속조치를 위한 예산문제가 아직 풀리지 않고 있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고 있다.

전수조사가 완료된 후 납이 과다 검출된 우레탄트랙은 모두 교체해야 하지만, 학교당 1억여원에 달하는 교체비용을 어떻게 분담할지를 놓고 현재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부모회 대전지부 관계자는 “정부부처와 교육당국은 위해요소로부터 학생들을 보호하기 위한 근본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홍서윤 기자 classic@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