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 달 둘째 주쯤에는 여야 대표와 만나게 될 것 같다.

박 대통령이 회동 정례화와 사안별 여야정협의체 운영 방안을 이미 제안했던 만큼 대통령의 이란 방문 일정을 감안하더라도 회동을 마냥 미룰 이유가 없다. 다만 의미 있는 성과를 내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박 대통령 취임 이래 여야 지도부가 모두 6차례 만났으나 그 결과는 늘 시원치 않았다.

여당에서 여야중진 협의체의 필요성이 나온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여야 중진들이 각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 민심을 청취하는 방식의 협의체 성격이다. 상설 기구화 여부를 떠나 여야 특히 중진들의 역할이 더욱 커졌다는 데 방점이 찍힌 것 같다. 여야 간 막힌 정국 앞에서 정치인이 할 일은 무엇인가. 각 정당의 정책과 비전을 토대로 정치권 스스로의 문제 해결능력을 키워야 한다는 데 이견이 있을 수 없다.

4·13총선 표심은 바로 대화와 타협의 정치 복원에 있다. 정부·여당의 일방 독주에 제동을 건 형국이다. 야당의 협조가 거의 절대적이다. 민생문제 해결을 위해선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다. 원 구성 단계에서부터 균형과 협상의 정치가 펼쳐질 공산이 크다. 내년 대선에 이르기까지 상호 소통과 조화의 정치가 어떤 흐름을 타고 이뤄질 건지 관심사다.

각 정당 사정을 보니 공교롭게도 원내대표의 위상이 한껏 높아지는 구도다. 새누리당은 차기 원내대표가 당대표 권한 대행을 맡아서 비상대책위원회 구성 및 전당대회 논의를 해야 하는 처지다. 더민주당도 제1당으로서 역할을 하자면 원내대표의 비중이 커진다. 국민의당이 4선의 박지원 의원을 원내대표로 합의 추대해 캐스팅보터로서의 힘을 실어줌에 따라 각 정당마다 거기에 걸맞은 카운터 파트너로서의 원내대표 선출에 신중을 기하는 모습이다.

20대 국회는 여소야대 구도 속의 3당 체제다. 새누리당, 더민주당, 국민의당 그 어느 정당도 과반의석을 차지하지 못했다. 국회 운영방식이 종전의 양당체제와는 사뭇 달라질 수밖에 없다. 16년 만에 부활한 여소야대 정국에서 '협치'를 강조하는 것도 그러한 연유에서다. 원만한 국회 운영을 위해선 다른 당과의 대화를 통한 타협과 양보의 정치가 불가피하다. 정치 지형이 재편된 이상 국정 운영 또한 달라져야 마땅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