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입정원 역전·4년제 위주 교육정책

지난 21일부터 시작된 대전지역 전문대학 일반전형 원서접수 마감 결과, 대부분의 대학들이 경쟁률 안정권 최저치인 4대 1에도 훨씬 못미치는 등 직업교육의 '대공황'이 예고됐다.

이에 따라 전문대학들은 경쟁률 저하에 따른 신입생 미충원률 확대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며 추가등록 등 예정된 수순 밟기에 들어갔다.

특히 정부가 우수 공업계 전문대학을 중점 지원했음에도 이번 입시모집에서 나타난 결과는 이·공계열 학과들의 '괴멸'이었다. 이는 국내 직업교육의 미래를 암울하게 하고 있으며, 아울러 산업인력 수급에도 막대한 차질이 우려된다.

이 같은 전문대학의 '대위기'는 실력보다는 학벌을 우선시하는 사회인식 탓도 있지만, 직업교육과 산업인력 수급 등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지 않은 정부의 한 치 앞도 못 보는 고등교육정책이 야기한 예견된 '인재(人災)'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일관된 지적이다.

교육 전문가들에 따르면 90년대 전반 WTO(세계무역기구) 체제 출범과 함께 국가간 경쟁체제가 본격화되면서 산업분야 경쟁력 배양이 당면과제로 받아들여졌고, 산업규모가 커지면서 정부가 전문대학 정원 억제정책에서 탈피, 수용능력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선회하기 시작했다.

특히 김영삼 정부들어 우후죽순으로 들어선 전문대학이 현재 159개에 이르고 있고, 직업교육의 완성축도 실업계고등학교에서 전문대학으로 자연스럽게 상향조정됐다.

전문대학의 양적팽창에 4년제 대학까지 무차별적으로 신설돼 최악의 고등교육 대란이 발생했고, 정부의 재정 지원도 사립이 90%를 차지하는 전문대학에는 너무나 인색했다.

'대입정원 역전시대'를 맞아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지방 4년제 대학들이 늘어나고 전문대는 더욱 자원부족을 심각하게 감수해야만 했다.

상황이 이런데도 정부는 실업계고 회생 정책이라며 4년제 대학들이 정원 외 특별전형으로 3%나 신입생을 모집할 수 있도록 했고, 이는 직업교육의 몰락을 예고해 주기에 충분했다.

전문대 관계자는 "실업계고-전문대-산업체 간, 전문대-4년제대학간 연계교육 활성화를 통해 직업교육의 틀이 다시 짜여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