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저가 중소기업에 타격 우려, 삼성·LG는 “영향없다" 판단

▲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을 오후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하기로 최종 합의한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오른쪽 두번째 뒷모습) 대표가 30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열린 여야회담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중 FTA(자유무역협정) 국회 비준으로 전자업계도 이해득실을 따지느라 분주하다.

전자산업은 중국시장의 비중이 절대적인 업종이다. TV·스마트폰 등 주요 품목의 경우 중국이 압도적인 세계 1위 시장이다.

B2B(기업간거래) 품목인 반도체와 디스플레이도 중국이 세계 최대 수요국이다. 하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한중 FAT가 우리 전자업계에 당장 미칠 여파는 극히 제한적이다.

3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LG전자는 중국에서 판매하는 제품 대부분을 현지공장에서 생산한다. 관세 철폐든 양허제외든 미칠 영향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게다가 휴대전화, 반도체, 컴퓨터 등 IT제품은 FTA와는 별도로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보기술협정(ITA)에 의해 이미 무관세화했다. 중국 측의 요구로 관세 철폐가 10년간 유예된 LCD(액정표시장치) 디스플레이도 영향이 없기는 마찬가지다.

디스플레이 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자국산 패널 비중을 80%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목표를 세우고 디스플레이 관세를 지켜냈지만 이미 현지 생산체제를 갖췄기 때문에 향후 10년간 시장에 별다른 변화는 없을 걸로 본다"고 말했다.

문제는 중소형 가전시장이다. 빗장이 풀려 중국산 중저가 제품이 내수시장에 쏟아져 들어올 경우 상대적으로 기반이 약한 국내 중소업체들에 적잖은 타격이 될 수 있다.

전자업계 관계자는 "삼성·LG는 사실 별 영향을 받을 일이 없다. 하지만 중소 전자업체들 사정은 전혀 다를 수 있다"고 말했다.

소형 공기청정기, 선풍기, 커피포트, 다리미 등 중소형 가전제품의 경우 가격에 워낙 민감한 품목이라서 중국업체들의 중저가 공세에 국내 업체들이 고전할 우려가 큰 것으로 지적된다.

이병욱 기자 shoda@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