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칼럼] 두통과 뇌졸중, 어떤 연관이 있을까?

두통은 매우 흔하게 나타나는 증상으로, 전체 인구의 약 70~80%가 1년에 한 번 이상 두통을 경험한다.

이렇게 흔하다 보니 대수롭지 않게 넘어가거나 진통제를 먹으며 참아 보기도 한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주위에 뇌졸중 환자가 하나 둘씩 생겨나고, 두통이 조금이라도 길어지는 것 같으면 이 두통이 뇌졸중에 의한 것이 아닌지 덜컥 겁이 나기도 할 것이다.

통계 상 전체 두통 환자 중 뇌졸중 환자는 매우 드물지만, 거꾸로 뇌졸중 환자 중에는 뇌졸중 발생 당시 두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18~32% 정도나 된다. 이러한 두통은 일반적인 두통과는 약간 다른 면이 있어 어떤 종류의 두통이 뇌졸중으로 인한 것인지를 알고 있다면 빠른 치료는 물론 후유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지주막하 출혈에 의한 두통, 50% 이상 사망률

뇌졸중과 연관된 두통은 다양하다. 그 중 특히 위험한 두통이 있는데, 바로 지주막하 출혈에 의한 두통이다. 이는 50% 이상의 사망률을 보이며 생존자 중 50%는 장애가 남는다.

갑자기 혈압이 올라간 경우나 격렬한 운동 직후, 벼락이 치는 듯한 두통 또는 망치로 얻어맞은 듯한 두통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잠깐 의식을 잃을 수도 있으며, 출혈의 양이 많으면 의식이 점차 나빠져 혼수상태가 되지만 적은 경우는 두통 말고는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이렇게 다른 증상 없이 두통만 있는 경우는 약 10% 정도이며, 심지어 동맥류 파열 전 경미한 형태의 예고 두통이 발생하는 경우가 50%에 이른다는 보고도 있다. 이런 두통은 자칫 일차두통으로 오인되어 위험한 상황에 이르기도 한다.

특히 예고 두통은 피가 조금 새는 경우 발생하는 데, 이 경우 후에 재출혈(파열)의 빈도가 많이 올라가므로 주의해야 한다. 일단 파열이 되면 후유증이 남게 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증상이 경미할 때 조치를 받아야 한다.

◆치명적인 뇌정맥 혈전증, 가역적 뇌혈관수축증후군

빈도는 적지만 치명적인 질환으로 꼽히는 것은 뇌정맥 혈전증이다. 말하자면 뇌에서 나가는 혈액의 흐름이 막히는 병인데, 대부분 혈액응고장애가 있는 경우 발생한다. 즉, 암이 있거나 감염증이 있을 때 면역체계 이상으로 생기거나, 유전적인 이유, 약물(호르몬제), 임신 등과 연관되어 발생한다.

두통은 90% 이상에서 나타나며 10%에서는 다른 증상 없이 두통만 있다. 대부분 갑작스럽기 보다는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다. 배에 힘을 주거나 누워있으면 정맥 순환이 더 어려워져 두통이 심해지는 특징이 있다.

대부분 마비나 발음 이상 등 신경학적 증상이 있으며 경련도 자주 동반된다. 치료가 늦어지면 출혈을 동반하는 뇌경색이 발생하기 때문에 치료가 매우 어려워진다. 따라서 빠른 진단 하에 항응고약물을 쓰는 것이 가장 좋은 치료이다. 최근에는 가역적 뇌혈관수축증후군(RCVS)이라는 질환이 주목을 받고 있다.

원인은 염증, 종양, 코막힘에 쓰이는 혈관수축제나 우울증 등의 약물 등 다양하지만 이러한 자극으로 뇌혈관이 수축하는 질환이다. 대개 3개월 정도 지나면 저절로 호전이 되지만 그동안에 두통이 동반되는데, 이때의 두통은 벼락두통의 양상을 띄며 43%의 환자는 경도의 마비, 경련과 같은 증상을 보이기도 한다.

◆전조 있는 편두통, 뇌졸중 위험도 2배 이상

일반적으로 동맥경화 등에 의해 발생하는 뇌경색도 20% 정도는 발생 당시 두통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혈관이 막히면서 발생하는 염증성 물질들로 인한 자극, 막힌 곳을 돌아가는 혈관의 자가 확장 등으로 두통이 생기는데, 우측 뇌 또는 소뇌에 발생한 경우, 편두통이 있었던 경우, 여자인 경우, 그리고 젊은 사람일수록 두통의 빈도가 더 높다.

물론 뇌경색은 뇌세포가 손상되는 질환이므로 마비 등이 나타나지만 시야를 담당하는 우측 후두엽이 손상될 경우 눈이 침침한 듯 하는 정도의 증상만 있거나 이 증상조차 무시해 아무 증상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갑자기 발생한 두통이 있으면서 한쪽 편의 시야가 떨어진다면 반드시 이 부위의 뇌경색을 의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