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500만 충청권 상수원인 대청호(회남수역)에 조류주의보가 발령되면서 식수원 보호에 비상이 걸렸다. 회남 수역에 조류주의보가 내려진 것은 2013년 10월 이후 21개월 만이다. 금강유역환경청에 따르면 회남수역의 클로로필-a 농도는 지난달 27일 현재 26.6㎎/㎥, 남조류 세포수는 1044개/㎖에 달했다. 조류주의보는 클로로필-a 농도가 15㎎/㎥ 이상, 남조류가 500개/㎖ 이상인 상태가 2회 연속 측정될 경우 발령된다.

대전시와 충북도, 금강유역환경청, 한국수자원공사 등 관계기관은 상시 수질모니터링을 실시하는 한편, 조류피해 방지를 위해 수초 재배섬·인공습지 등 조류저감시설을 운영하고, 수중폭기장치 및 조류차단막 등 조류제거를 위한 시설·장치를 가동 중이다. 클로로필-a 농도가 올라가고 남조류 세포 수가 높아진 것은 장마로 인해 대청호 상류에서 다량의 영양물질이 유입되고 수온까지 상승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평년보다 적은 강우량도 조류 발생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문제는 클로로필-a와 남조류가 부패할 경우 악취 덩어리로 변한다는 점이다. 이런 탓에 고도의 정수 과정을 거쳐도 물에서 악취가 나고 물맛도 이상하게 느껴진다.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분말 활성탄을 뿌리고, 수질의 부영양화를 막기 위해 축산 농가 등을 대상으로 가축 분뇨의 적정 처리를 당부하는 등 미봉책에 그쳐서는 안 되는 이유다.

정부가 조류발생을 줄이기 위해 하수처리시설을 확충하고 분류식 하수관거설치, 수변구역 관리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지만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도 시급히 해결해야 할 난제다. 오염물질 유입량을 줄이기 위해 도랑살리기, 친환경농업 장려, 호수 내 인공수초섬 및 생태 습지 설치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항구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부는 이제라도 임시변통식 처방에 매달릴 게 아니라 기후변화 등 다각적인 요인을 고려한 실질적 수질관리를 위한 중장기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더 이상 국민들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믿을 수 있는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녹조가 줄어들기 바라며 하늘만 쳐다보고, 수돗물을 끓여 마시면 안전하다는 말을 언제까지 되풀이 할 것인가.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