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硏 ‘급성간독성’ 해결책 찾아

국내 연구진이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해열·진통제인 타이레놀의 부작용을 해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

30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철호·김용훈·황정환 박사 연구팀은 아세트아미노펜의 과용으로 유발되는 급성 간독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인자를 발견했다

타이레놀로 잘 알려져 있는 아세트아미노펜은 성인 기준으로 일일 4g 이하를 섭취했을 때는 특별한 부작용이 없지만, 과량 섭취하면 간에 심각한 중독 작용을 일으켜 급성 간독성으로 인해 사망에까지 이르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세트아미노펜의 부작용은 전 세계적으로 2011년 1500여건에서 2013년 4000건 이상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연구팀은 생쥐를 대상으로한 실험을 통해 세포 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인 ‘지에이디디45베타’(GADD45β)가 아세트아미노펜의 과용으로 유발되는 급성 간독성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혀냈다.

연구팀이 생쥐에게 GADD45β를 결핍시킨 결과, 간 손상 유발의 중요한 원인인 제이앤케이(JNK)가 급격하고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는 것이 발견됐으며, 이럴 경우 쥐의 급성 간독성 발병률과 사망률이 2배 가량 높아졌다. 이에 반해 GADD45β 발현을 증가시키는 메트포민(metformin)을 투여한 생쥐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 급성 간독성 억제 효과가 약 2배 증가하는 것도 확인했다.

이철호 박사는 “이번 연구는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급성 간독성 유발과정에 새로운 독성억제 조절인자로서 GADD45β의 기능을 처음으로 규명한 사례”라며 “향후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급성 간손상 제어에 대한 연구와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반지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나운규 기자 sendme@cctoday.co.kr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