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의료기관이 마약류 의약품 관리의 사각지대인 것으로 재확인됐다. 대전경찰청 마약수사대에 의해 적발된 병원의 마약 관리 실태를 보건대 한심하기 이를 데 없다. 무면허 간호사가 병원장 몰래 마약 성분의 진통제나 향정신성의약품인 수면 유도제 수백 개를 투약한 혐의다. 병원에서 약품을 훔치거나 병원장의 아이디를 도용해 처방전을 발행하는 수법이 동원됐다고 한다. 그냥 보아 넘길 일이 아니다.

무면허 인력을 고용한 데서부터 사건은 이미 예정돼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면허 소지 여부도 확인하지 않았다니 이해하기 힘들다. 병원에서 마약류 의약품의 투약 및 재고 관리로부터 처방전 발행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방증해준다. 진통제의 경우 구입절차가 허술해 악용될 소지가 다분하다는 점도 드러났다.

마약류의 중독성 폐해는 실로 엄청나다. 피의자는 5년 전에도 같은 수법으로 마약을 투약해 징역 6월에 집행유예 1년을 선고 받았다고 한다. 일단 마약에 중독되면 그 음습한 소굴에서 빠져나오기 힘들다. 마약을 구하기 위해서라면 어떤 수단과 방법도 가리지 않는다. 범죄와 연루되기 쉬운 구조다. 그럴수록 당사자의 심신은 황폐해지고 결국 가족은 물론 우리 사회 전체의 부담으로 돌아온다.

마약사범 대책은 수요측면과 공급측면을 동시에 적정 관리해야 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마약이 우리 사회에 폭 넓게 파고드는 현상은 경계할 대목이다. 용도가 피로회복, 영양제, 수면용, 다이어트용 등으로 위장하기도 한다. 마약이 도농 불문하고 있고, 계층 또한 전문인으로부터 연예인, 유학생, 주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해지고 있다. 공급 측면에서도 각종 신종 마약류까지 등장, 혼란스럽게 한다. 거래 수단이 지능화돼 치고 빠지기 식 수법이 여전하다. 직접 거래 방식 이외에도 인터넷이나 국제 특송 등 유통 경로가 여럿이다.

의료기관의 마약류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건 바로 약품 오·남용으로 인한 국민건강 보호 차원에 큰 의의가 있다. 요즘 마약류 판매업자들이 병원에서 허위 처방전을 발급 받는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얼마 전 밝혀져 경각심을 주었다. 마약류 관리에 한치의 오차도 발생하지 않도록 지도관리 감독 확인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위반자에 대해선 일벌백계로 대응하는 수밖에 없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