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충청-호남 7개 광역단체가 뭉쳤다. 단절된 호남KTX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다. 대전시청에서 어제 열린 이들 시도지사 연석회의는 시사하는 바가 작지 않다. 이달 초 호남KTX 1단계인 용산역~광주송정역 구간이 개통됐음에도 불구하고 대전~광주권을 왕래하는 이용승객의 편의는 도외시한 노선이라는 결론을 도출해낸 셈이다. 7개 광역단체가 한 목소리로 이에 대한 보완책을 비롯해 중장기 플랜을 제시했다는 점을 우선 주목한다.

이미 2005년 KTX의 호남분기역이 충북 오송역으로 선정될 당시부터 예고된 일이었다. 천안아산역, 대전역, 오송역이 당시 경쟁을 벌인 결과 오송역으로 선정됐고, 평가 결과에 대해 각 지역이 무조건 수용하기로 미리 합의했던 터라 지금 와서 정치논리 운운하는 건 의미가 없다. 다만 문제의 본질은 부작용 최소화를 위한 보완 장치 마련에는 크게 배려하지 않고 있었다는 점이다.

뒤늦었지만 KTX 운행 구간의 직접적인 당사자 격인 7개 시도가 일단 합의안을 내놓았다는 그 자체만으로도 평가할만하다. 그 하나는 내년 수서발 KTX 개통시기에 맞춰 서대전 경유 KTX와 전라선 KTX를 수요에 부응해 증편하는데 공동 노력한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제3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에 서대전~계룡·논산~익산 구간 직선화 사업을 반영하는 것으로 돼 있다. 호남KTX 본선이 서대전역을 경유하지 않는 현행 방식 후유증의 최소화에 방점이 찍혀 있다.

아무리 고속철이라고 하더라도 특정 지역을 배제한 채 운행한다는 건 어불성설이다. 지난 2월 5일 운행방식에 대한 국토부의 결정은 졸작이었다. 각 지역의 첨예한 입장까지 얽힌 가운데 어정쩡한 결과물을 내놓고도 방관만하는 태도를 보였다. 불과 2개월 전만 해도 시간 지체 등을 이유로 KTX의 서대전역 경유를 그토록 반대해왔지만 호남지역 입장이 이번에 바뀐 건 현실적인 측면을 부정할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고속철이 충청-호남의 교류, 더 나아가서는 유무형의 지역균형 발전을 가로막는다면 그야말로 보통 심각한 일이 아니다. 이제야 나온 원론차원의 합의물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도 미세 조율할 대목이 여럿이다. 정부와 협의·반영하기 위해선 단일화된 채널을 구축 가동하는 방안도 검토할 수 있겠다.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