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하향곡선을 그리던 산업재해 사망자수가 9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는 건 우려스런 일이다. 일련의 대형 재난사고로 산업현장에서 경각심을 그토록 강조했건만 오히려 인명사고는 늘어났다고 한다. 이는 안전불감증이 여전히 산업현장 곳곳에 도사리고 있다는 반증이다. 산업재해로 인한 손실액이 한해 4조원에 달하는 실정이고 보면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일 묘책 마련이 절실하다.

고용노동부가 지난해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 적용되는 197만여 사업장을 대상으로 조사한 사망재해자 수는 1929명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문제는 근로자 1만명 당 사망자 수를 나타내는 사망만인율이 1.25로 전년보다 0.05포인트 상승했다는 점이다. 사망만인율은 2004년 2.47을 정점으로 2010년 1.36, 2012년 1.20 등으로 매년 떨어졌다. 하지만 지난해를 고비로 사망만인율이 다시 상승했다. 줄어도 시원찮을 마당에 올라간 것이다.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사망률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3번째로 높다고 한다. 4일 이상 요양이 요구되는 재해자는 9만 1000여명이 발생해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재해율은 0.59%를 기록했다. 재해율은 근로자 100명당 발생하는 재해자 수의 비율을 일컫는다. 산업재해 사망률과 달리 재해율은 선진국과 비교해 높은 수준은 아니나 더 끌어내릴 필요가 있다.

세계 10위권 경제 강국을 표방하면서 산업재해는 후진국 신세를 면치 못하는 양면성을 보이고 있다. 고용주와 근로자의 안전의식 소홀 탓이 크다. 내로라하는 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다. 우리지역에서만 하더라도 현대제철 당진공장, 보령화력 등 산업재해 발생 현장이 한두 곳이 아니다. 중소업체는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숨기는 경향까지 있다. 처벌과 이미지 훼손을 우려해서다.

한해 2000명이나 되는 산업인력이 목숨을 잃는 슬픈 현실이다. 일을 하다 다쳐 장애인이 되는 근로자도 숱하다. 저임금,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특히 산업재해에 노출돼 있다. 산업재해의 이면에는 반드시 원인이 있다. 그 한복판에 안전불감증이 도사리고 있다. 사람의 목숨보다 더 소중한 것은 없다. 기업주와 근로자는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위해 머리를 맞대야한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