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진석 충북본사 사회교육부장

청주대 사태가 점입가경이다. 청석학원 설립 후 '최대 위기'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학 안팎에서 김윤배 총장과 경영진에 대한 퇴진 압박이 갈수록 거세다. 이번 사태는 청주대가 정부 재정제한 대학으로 지정되면서 촉발됐다. 특히 대학 적립금이 3,000억원으로 전국 대학 중 6위에 해당한다는 사실은 학내분규에 기름을 부은 격이 됐다. 기둥이 쓰러질 위기에 놓인 집에 곳간을 열어 봤더니 '금은보화'가 가득 쌓여 있는 꼴이 됐다.

곳간을 열어 얼마든지 기둥을 보수하고, '좋은 집'을 지을 수 있었음에도 김 총장은 어찌된 일인지 곳간에 금은보화를 잔뜩 쌓아만 뒀다. 구성원들의 반발은 당연한 귀결이다. 이런 상황에서 김윤배 총장이 보직 교수회의에서 한 '막말'이 공개돼 총장으로서의 자질과 품격조차 의심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청주대는 '부실대학'이라는 오명과 더불어 '품격 없는 총장이 이끄는 대학'이라는 또 다른 비아냥성 조롱까지 당하고 있다. 대학 측은 뒤늦게 전국 대학 상위 30% 이내, 50위권 진입을 목표로 적립금을 적극 투자하겠다는 혁신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총학생회와 교수회의 반응은 싸늘하다. 이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게 이유다. 총동문회, 교수회, 총학생회, 노조 등으로 구성된 '청주대 정상화를 위한 범 비상대책위원회'는 "현 사태에 막중한 책임이 있는 교무위원들은 혁신의 대상이지 혁신의 주체가 될 수 없다"며 "총장과 교무위원 퇴진을 관철시킨 뒤 학교 정상화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청주대 총학생회는 지난 18일 총회를 개최해 김윤배 총장과 경영진 사퇴를 결의했다. 대학 직원 노동조합도 만장일치로 총파업을 결의했으며 총동문회는 동문 단합대회를 통해 총장 사퇴를 촉구했고, 교수회 또한 비상총회를 열어 총장 퇴진을 결의했다. 여기에 창립자 후손과 시민사회단체들도 가세했다. 총장 사퇴를 결의한 총학은 오는 29일 교육부에 임시이사회 파견을 건의하기로 하고, 학생들을 상대로 서명운동에 나섰다. 총학은 피켓시위와 수업 거부, 천막농성, 총장실 점거 등으로 사퇴 압박수위를 높여가기로 했다. 범 비상대책위는 시민들을 상대로 김 총장의 부도덕성과 폐쇄적인 학교 운영 등을 알리고 김 총장 퇴진 서명운동, 총장실 항의방문, 배임 및 횡령 혐의 고소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퇴진운동을 벌이고 있다.

그러나 김 총장은 눈 하나 깜짝하지 않고 있다. 대학 측은 총학생회와 교수회 등이 참여한 비상혁신위원회를 구성해 총장의 권한을 위임받아 함께 파국을 헤쳐나가자는 제안을 거절당한 이후 별다른 대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김 총장이 '시간 끌기' 전략으로 상황을 모면하려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2006년 재선에 성공한 이후 수차례에 걸쳐 '퇴진압박'을 받아왔지만 재단 이사진을 등에 업고 4선에 성공하며 자리를 지켜왔다는 점이 이런 해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하지만 사태가 이 지경으로까지 확대된 것에 대해 총장과 경영진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 게 학교안팎을 넘어 지역사회의 지배적인 여론이다.

작금의 청주대 사태는 무사안일주의, 오랜 적폐에서 비롯됐다. 대학설립자 가족이 총장을 맡아왔고 재단 이사진 또한 입맛에 맞는 사람들로 선발해 거수기 역할을 해왔다. 높은 등록금에 비해 턱없이 낮은 재단 전입금 등 대학을 공공의 가치로 보는 것이 아니라 창립자 후손의 재산으로만 봐 왔다는 비판이 늘 따라다녔다. 이번 사태와 관련해 김 총장은 더 이상 침묵으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 김 총장이 정면에 나서야 한다. 학내 구성원들은 물론 지역사회는 더 이상 '리모콘 총장'은 원하지 않는다. 총장직에서 사퇴하든가, 아니면 김 총장이 직접 나서서 대학구성원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혁신안을 내놔야 한다. 물론 '총장직'을 담보로 해야 한다. 그 것만이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는 청주대 사태를 정상화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다.

저작권자 © 충청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